|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5(2):2019 > Article
키르기스스탄 영유아 성장발달을 위한 놀이도구 개발 및 사용효과 평가: 6~36개월 영유아의 상징적 기능 사고와 미세운동 발달 중심으로

Abstract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velop a play toolkit to facilitate infants’ and toddlers' symbolic thought and fine motor development.

Methods

This study used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including two phases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After reviewing the play culture and developmental health issues in Kyrgyzsta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local experts and parents, the toolkit was developed and evaluated using content validity and utilization tests.

Results

The toolkit was based on Westby’s symbolic play and the fine motor milestones in the Bright Futures Guidelines. The Toolkits were composed of an overall suggested play schedule according to the child’s age, four kinds of play props, and a utilization guidebook for parents. The play props were a felt book, sorting and assembling blocks, cup blocks, and a tangram. The guidebook contained age-appropriate operating methods and alternative ways to use the materials.

Conclusion

A play toolkit was developed to enhance nurturing practices among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The findings may help facilitate effectiv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Considering that nurturing care is critical for achieving better child health outcomes, enhancing parenting resources and parent-child relations could function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promoting child health.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유니세프 한국위원회가 발표한 ‘2016 세계아동현황보고서’[1]에 의하면 제 3세계 어린이가 겪는 차별과 불평등은 점점 심화되고 있다. 2016년 한 해 동안 약 560만명의 어린이가 폐렴, 설사병, 말라리아, 홍역 등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병으로 사망하였으며, 저개발국가의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은 선진국 5세 미만 아동 사망률보다 1.9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 3세계에서 성장발달이 지연되는 아동의 수가 2억 5,000만명에 달하는 등 건강 불평등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고, 이들의 성장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빈혈과 같은 질병, 영양부족, 안전하지 못한 환경, 부모의 양육 능력 저하, 교육기회의 부족 등이 보고되고 있다[2].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성장발달이 지연된 아동은 정상적으로 발달과업을 마친 아동보다 학업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기가 어렵고, 향후 수입의 규모가 감소하며, 다음 세대에 가난을 물려주기 쉬우므로[2,3]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아동 성장발달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해결 모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Nurturing Care Framework’[2]는 아동의 건강, 영양, 안전, 교육, 감정적인 교류 및 상호작용을 위한 부모와 기타 돌봄제공자의 호응적인 양육태도를 강조한다. 부모는 자녀의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가함으로써 양육효능감을 느낄 수 있고,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인지발달과 전반적인 심리 ․ 사회적 적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5]. 또한 부모-자녀 간의 호응적인 관계는 자녀의 사회 ․ 정서적인 발달뿐만 아니라 신체적, 인지적 발달도 촉진시킨다[6]. ‘Nurturing Care Framework’[2]에 따르면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만 3세까지의 영유아에 대한 조기 중재가 필요하다. 아동의 출생부터 만 3세까지의 시기를 가장 중요한 시기로 설정한 이유는 이 시기가 뇌가 가장 빠른 속도로 발달하는 시기이며, 뇌의 약 80%가 이때 성장을 마치기 때문이다[2]. 또한 5세 미만 아동이 영양실조나 질병에 노출될 경우 아동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적, 감정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7].
놀이는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및 사회적 이점을 제공하여[8] 유아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영아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미숙한 상태이지만 부모의 관심과 보호 속에서 부모와의 신체접촉, 대화, 놀이 등을 통한 상호작용에 의해 대 ․ 소근육 운동발달, 정서발달, 인지적, 사회적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9]. 따라서 발달시기에 맞는 적합한 놀이를 통해 영유아기 아동의 성장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놀이를 통해 발달되는 영역 중 소근육 운동(fine motor)은 사물을 획득하고 조작하기 위해 손으로 수행하는 운동 기술로[10] 시각과의 협응을 통해 섬세하고 정확한 손동작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소근육 운동이 발달했다는 것은 여러 운동능력이 통합되고, 중추신경계가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언어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요하다. 소근육 발달과 더불어 이 연령대의 영유아에게는 상징의 개념이 발현되는 시기이다. 상징이란 영유아의 감각운동적 경험이 표상적인 지식으로 전환된 것으로 상징을 활용하는 상징놀이는 인지능력의 발달에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11]. 또한 상징놀이는 특정 행동이나 사물로부터 사고를 분리시킬 수 있는 능력과 의식적이고 융통성 있는 자기조절 활동을 위해 충동적인 행동을 자제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되도록 돕는다[12].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키르기스스탄은 총 인구 중 영유아 및 청소년 인구가 30.1%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국가로 아동의 18.0%는 영양실조 상태이고, 5세 미만 영유아의 22.9%는 철분결핍성 빈혈을 가지고 있다[1]. 유니세프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키르기스스탄의 저성장 아동비율(stunting rate)은 농촌 지역 5세 미만 아동 중 21.0%, 도시 지역 5세 미만 아동 중 9.0%에 달한다. 또한 2018년 유니세프의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1]에 따르면 5세 미만 아동의 가정에서 4개 이상의 가정 내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어머니의 비율이 29.7%, 아버지의 비율은 2.8%로 아동의 성장발달을 촉진하는 활동에 부모가 저조한 참여율을 보였다. 또한 키르기스스탄 아동의 27.3%만이 아동을 위한 책이 3권 이상 있는 가정에서 성장하고 있고, 2개 이상의 장난감을 가진 아동은 전체의 59.3%에 불과했으며, 57.1%의 아동은 심리적, 신체적 체벌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를 통해 키르기스스탄의 부모가 자녀 양육에 직접 참여하는 비율이 낮으며,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이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13].
유니세프에서 2009년에 개발한 아동발달키트(Early Childhood Development kit, ECD kit)에는 0~6세 아동의 발달을 위한 활동 물품이 담겨있다. ECD kit는 2009년에서 2015년까지 전 세계 저개발국가에 총 89,659개가 배부되었고, 그 중 중앙아시아에는 총 1,646개, 키르기스스탄에는 총 691개가 배부되어 중앙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은 배부를 받았다[14]. 이는 키르기스스탄 내 마을건강위원회의 ECD 진행자와 학부모 자원봉사자가 6개월~2세 아동을 위한 수제책을 만드는 훈련을 받고, 키트를 직접 제작하여 고질적인 키트 구매비용을 줄였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현지에서 키트를 지속적으로 제작하고 배부하기 위해서는 제작비용 감소와 아동의 성장발달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14]. 키르기스스탄 아동의 성장지연과 양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 유니세프의 사례처럼 아동의 성장발달 촉진을 위한 개입과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연구 및 사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키르기스스탄 영유아의 성장발달 촉진에 기여하는 키트를 개발하고, 부모를 위한 가이드북을 제작하여 부모가 직접 양육에 참여함으로써 nurturing care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키르기스스탄 영유아의 성장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성장발달 촉진 키트를 개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성장발달 촉진 키트의 구성요소인 놀잇감, 놀잇감을 활용한 놀이 방법, 놀잇감 및 놀이 활용에 관련된 매뉴얼을 개발한다.
• 개발한 성장발달 촉진 키트를 대상자에게 적용한 후 사용성 평가를 실시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키르기스스탄 악오르고, 악오르도 지역 영유아의 성장발달 촉진 키트 제작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며, 개발 단계와 평가 단계로 구성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키르기스스탄 현지 전문가 및 현지 부모를 대상으로 서면으로 진행되는 면담, 전문가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Index, CVI) 평가, 문화적합성 확인을 실시하였고, 평가 단계에서는 사용효과 평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모집단은 키르기스스탄 악오르고, 악오르도 지역에 거주하는 6~36개월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현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 전 섭외된 키르기스스탄 부모 4명을 대상으로 서면면담을 진행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악오르고, 악오르도 지역에 거주중인 자, 6~36개월 사이 자녀를 둔자, 질문지 내용을 이해하며 서면으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며 자발적으로 면담에 참여의사를 나타낸 자로 설정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악오르고, 악오르도 지역에서 2018년 7월 12일부터 7월 14일까지 실시된 Health Fair (아동건강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보건소 행사)와 부모교육 워크샵에 참여한 6~36개월 영유아 부모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 연구 도구

1) Honeycomb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된 성장발달 촉진 키트의 사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Honeycomb 모형[15]의 7가지 원칙 중 1) 사용성(usability), 2) 접근성(accessibility), 3) 유용성(usefulness), 4) 매력성(desirability), 5) 신뢰성(credibility)의 5가지 영역을 선정하였고, 개발된 놀이도구의 특성상 검색성(findable)에 대한 평가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외하였으며, 6) 기능성(functionality) 영역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원칙을 재구성하여 6개 영역에 대하여 총 9개의 Likert 5점 척도 평가 문항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4로 측정되었다.

4. 연구 과정 및 자료 수집 방법

1) 도구 개발 단계

(1) 문헌고찰

저개발국가 아동의 성장발달 실태, 연령별 아동 성장발달 과업, 키르기스스탄 아동 건강이슈, 중앙아시아 전통놀이 문화, Westby [16]의 상징놀이에 대해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저개발국가 아동은 작화놀이에 취약하고, 유목민족의 특성상 말 타기 혹은 그네타기 등 대근육 발달을 촉진하는 놀이 위주의 전통놀이 문화로 미세운동 발달이나 상징발달을 촉진하는 놀이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미세운동과 상징놀이 촉진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2) 현지 부모 면담

키르기스스탄의 영유아 놀이 현황과 아동 성장발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8년 4월 7일에서 4월 30일까지 총 4회에 걸쳐 현지 부모 4인과 키르기즈어를 사용하여 서면면담을 시행하였다. 서면 면담은 현지 부모에게 시행하기 위해 한국어로 작성된 면담지를 키르기스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번역은 키르기스어와 한국어가 모두 능통한 키르기즈인 통역사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였다. 가정 내 소유하고 있는 장난감 개수, 가정 내 부모-자녀 놀이 활동실태, 키르기스스탄 양육문화, 성장발달 중요성의 인지 여부, 키르기스스탄 주요 아동 관련 문제, 영유아 교육 및 보육 현황, 키르기스스탄 국내 생산 유통 장난감 현황, 도구 제작 시 문화적, 정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이 문항에 포함되었다. 부모 면담 결과를 통해 질 좋은 장난감의 부족, 가정 내 놀이 활동 부족,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부족 등의 실태를 확인하였고, 부모의 역량 강화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대두되었다.

(3) 성장발달 촉진 키트의 개념적 준거틀 작성

문헌고찰과 현지 부모 면담 결과를 기반으로 Westby [16]의 상징놀이 척도와 Bright Future [17]의 영유아 미세운동발달 지표에 근거하여 성장발달 촉진 키트의 개념적 준거틀인 월령별 상징적 기능사고 및 미세운동발달 준거틀을 수립하였다.

(4) 예비 키트 개발

수립한 월령별 상징적 기능사고 및 미세운동발달 준거틀을 기반으로 예비 키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비 키트는 4가지 놀잇감인 펠트북, 육면체 블록, 컵 블록, 칠교와 놀잇감 활용틀, 키트 이용 매뉴얼로 구성하였다.

(5) 키트 타당성 평가

성장발달 촉진 키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아동간호학 교수 2인, 아동가족학 교수 1인과 임상경력 5년 이상인 간호학 박사 수료 국제보건전문가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였으며, 2018년 5월 20일부터 6월 7일까지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각 문항은 ‘매우 적절하다(5점)’, ‘적절하다(4점)’, ‘보통이다(3점)’, ‘적절하지 않다(2점)’, ‘전혀 적절하지 않다(1점)’의 Likert형 5점 척도로 평가하여 내용타당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내용타당도 설문지는 도구의 목적, 도구의 준거틀, 연령별 놀잇감 활용 방법의 타당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검증시 각 놀잇감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 및 내용 전달적인 측면에서 수정을 요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의견을 따로 기입하도록 하였다.
예비 키트의 문화적합성 확인을 위해 현지 부모 2인과 현지 전문가 2인에게 문화적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현지 부모 2인에게는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4일까지 2회의 서면 및 화상 면담을 통해 문화적합성을 확인하였고, 현지 아동 전문가에게는 2018년 8월 7일부터 8월 30일까지 문화적합성 검사를 의뢰하였다. 문화적합성검사는 번역된 도구 이용 매뉴얼, 연령별 놀잇감 활용틀, 도구의 준거틀을 제공하여 도구의 목적, 도구의 준거틀, 연령별 놀잇감 활용 방법, 각 놀잇감 구성에 대해 문화적으로 적합한지 확인받았다. 전과정에서의 번역은 키르기즈어, 한국어가 능통한 키르기즈인 전문통역사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다.

(6) 최종 키트 개발

현지 전문가 및 부모 면담과 문헌고찰, 키트 타당성 평가 단계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펠트북, 육면체 블록, 컵 블록, 칠교 총 4가지의 놀잇감으로 구성된 성장발달 촉진 키트를 개발하였고, Kyrgyzstan Infants & toddlers Development Support (KIDS)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KIDS의 목적과 개념적 준거틀 및 연령별 활용법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놀잇감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2) 평가 단계

개발한 성장발달 촉진 키트를 키르기스스탄 이주민 지역 부모에게 적용하여 평가하는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개발된 부모교육지침에 따라 부모교육을 하고 놀이를 한 부모교육군과 지역 Health fair에서 간단한 오리엔테이션 실시 후 아동이 놀이를 한 놀이노출군으로 나누어 평가를 진행하였다. 부모교육군은 2018년 7월 12일부터 7월 14일까지 악오르고, 악오르도 지역에서 실시된 부모교육 워크숍에서 6~36개월 자녀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장발달 촉진 키트 KIDS에 대해 소개하고 놀이도구 제작 훈련을 1회, 90분 동안 시행하였다. 이후 놀이 방법 시연 및 놀이 체험 시간을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고려하여 30분 동안 제공하고 설문을 진행하였다. 놀이노출군은 2018년 7월 12일부터 7월 14일까지 악오르고, 악오르도 지역에 Health Fair에서 놀이 구역을 운영하며, 놀이 구역을 방문한 6~36개월 자녀를 가진 부모에게 KIDS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놀이 방법 시연 및 놀이 체험 시간을 30분 동안 제공한 후 설문을 시행하였다.
개발된 KIDS의 사용효과 평가는 Honeycomb 사용효과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018년 7월 12일부터 7월 14일까지 키르기스스탄 악오르고, 악오르도 지역의 Health Fair와 부모교육 워크샵에 참여하여 KIDS 도구를 사용한 6~36개월 영유아 부모 총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놀이 시연 및 체험이 끝난 직후 서면으로 효과 평가를 조사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부모교육군과 놀이노출군의 만족도 점수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 평가로는 전문가 내용타당도 지수를 사용하였다. 효과 평가를 위해 부모교육군과 놀이노출군의 2군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효과의 차이를 t-test로 분석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코이카 민관협력사업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를 수행하기 전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연구 윤리심의 승인을 받았다(KHUIRB-17-022). 연구에 참여하는 부모에게는 연구 과정에 대한 설명과 아동과 부모의 의지로 언제든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아동의 놀이참여는 부모의 자발적인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서를 받은 후 이루어졌다. 또한 부모에게 아동이 놀이참여 과정에서 피곤해하거나 불편해하는 경우 놀이에서 빠질 수 있도록 사전교육하였다.

연 구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9.1±6.9세로 최솟값 만 23세에서 최댓값 만 55세였고, 자녀의 평균 개월 수는 22.6±10.0개월로 최솟값 6개월에서 최댓값 36개월이었다. 학력 수준은 어머니의 경우 초등교육 28%, 중등교육 28%, 고등교육 43%였고, 아버지의 경우 초등교육 32%, 중등교육 30%, 고등교육 38%였다.

2. KIDS 도구

1) 월령별 KIDS 놀잇감 활용틀

Figure 2는 4가지 종류의 KIDS 놀잇감을 활용한 월령별 놀이 방법이 제시된 KIDS 활용틀이다. 활용틀의 세로축은 각각의 놀잇감을, 가로축은 6개월에서 36개월까지의 월령을 나타낸다. 각각의 놀이도구마다 활용할 수 있는 놀이 방법이 월령에 맞게 배치되어 있으며, 놀이 방법은 전개원리에 따라 미세운동과 상징놀이로 구분된다. 제시된 놀이의 수는 펠트북 15가지, 육면체 15가지, 컵블록 11가지, 칠교 12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KIDS 도구의 활용틀에는 월령을 기준으로 해당 월령에 활용할 수 있는 놀이의 종류, 각각의 놀이에 필요한 놀잇감 및 준비물, 놀이의 기대효과가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12개월 아동의 경우, 월령별 KIDS 놀잇감 활용틀에 근거하여 거울놀이, 까꿍놀이, 모양 블록 잡기 놀이, 국자뜨기 놀이, 칠교 조각 전달 놀이를 할 수 있다. 거울놀이와 까꿍놀이는 펠트북을, 모양 블록 잡기 놀이는 육면체 블록을 이용하며, 국자뜨기 놀이는 컵 블록을 사용하고, 칠교 조각 전달 놀이에는 칠교가 필요하다. 그 중 거울놀이와 까꿍놀이는 상징사고를 촉진하고, 모양 블록 잡기 놀이, 국자뜨기 놀이, 칠교 조각 전달 놀이는 미세운동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2) KIDS 놀잇감 및 도구 이용 매뉴얼

Table 1은 KIDS 놀잇감과 도구 이용 매뉴얼이다. KIDS 놀잇감은 펠트북, 육면체 블록, 컵 블록, 칠교 4가지로 구성되었다.
펠트북은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표지를 제외하고 18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구성은 거울놀이, 까꿍놀이, 지퍼 올리기, 찍찍이 운동화, 옷 입히기, 음식 먹이기, 보물찾기, 응가놀이, 주방놀이1&2, 소방관놀이, 병원놀이, 빨래널기, 곤충놀이, 모양 퍼즐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페이지마다 소품을 밸크로로 부착하여 떼었다 붙였다 하면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상징놀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도안을 함께 제공하여 헝겊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집에서 쉽게 따라해 볼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육면체 블록은 겉의 육면체를 만들 수 있는 사각 블록 30개와 육면체 안에 넣을 수 있는 모양 블록 24개로 구성되어 있다. 사각 블록과 모양 블록은 6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양 블록은 가로, 세로 4cm 크기의 정사각형, 직사각형, 별, 하트, 동그라미, 세모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각 블록은 가로, 세로 15cm의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모양 블록을 넣을 수 있도록 여섯 가지 종류의 모양 구멍이 각 면에 2개씩 뚫려있다. 사각 블록을 조립하고 모양 블록을 구멍에 맞게 집어넣으며 미세운동발달을 촉진하고, 다양한 색깔과 모양을 구별함으로써 상징놀이를 위한 언어적, 사회적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컵 블록은 별, 원통형 두 가지 종류가 있고 각각 사이즈가 다른 8개의 컵으로 구성되어 있어 쉽게 쌓을 수 있으며, 컵 하단에 송곳으로 작은 구멍을 뚫어 전화기 놀이를 할 수 있다. 컵을 쌓고, 정렬하고, 세우고, 연결하며 아동은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고, 쌓기와 부수기를 반복하면서 즐거움을 느끼고 미세운동발달이 촉진된다.
칠교는 정사각형 모양의 플라스틱판을 큰 직각삼각형 2개, 중간 직각삼각형 1개, 작은 직각삼각형 2개, 정사각형과 평행사변형이 각 1개가 되도록 잘라낸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어 여러 가지 기하학적 모양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KIDS 도구 이용 매뉴얼은 키르기스어로 제작되었으며, 각 놀이도구의 목적, 이론적 근거, 월령별 놀이 방법, 관찰 및 주의 사항, 대체놀이, 기대효과의 내용을 포함한다. 키르기스스탄 지역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어머니 리더가 교재를 이용하여 지역사회의 3~36개월 영유아 부모에게 놀이 방법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체놀이를 포함하여 제작된 키트가 없더라도 가정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발달 촉진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

3. 타당성 평가: 내용타당도 및 문화적합성 평가

KIDS 도구의 기반이 되는 개념적 준거틀, 도구의 구성과 월령별 놀잇감 활용틀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받았다. 평가 결과 개념적 준거틀의 평균 점수는 적합성 4.50점, 중요성 4.67점이었고, 도구 구성의 평균 점수는 적합성 4.67점, 중요성 4.67점이었다. 월령별 놀잇감 활용틀의 평균 점수는 적합성 4.83점, 중요성 4.83점으로 측정되었다. 세 항목 모두 적합성이 중요성보다 같거나 낮은 점수를 보였다.
제작된 도구가 키르기스스탄의 문화적 배경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한 문화적합성은 키르기스스탄 현지 아동 전문가에게서 확인을 받았다. 도구 이용 매뉴얼의 구성과 내용이 타당하고, 키르기스스탄의 전통적인 관념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키르기스스탄 문화에 적합한 놀이도구이나,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놀이 방법에 대한 사진이 추가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어서 일부 내용을 수정하였다.

4. 사용효과 평가

Table 2는 KIDS 도구 사용효과를 부모교육에 참여한 부모교육군과 Health fair에 참여한 놀이노출군으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이다. KIDS 도구 사용효과 평가에 참여한 부모교육군의 만족도 점수는 4.75점이었고, 놀이노출군의 만족도 점수는 4.60이었으며, 두 그룹 간 만족도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1, p=.029). 세부적으로는 부모교육군이 신뢰성 영역에서 4.88점으로 가장 높았고, 접근성 영역이 4.60점으로 가장 낮았다. 놀이노출군은 접근성 영역이 4.68점로 가장 높았고, 사용성 영역이 4.46점으로 가장 낮았다. Figure 3은 두 군 간 각 영역별 사용효과 평가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도표로 제시한 것이다.

논 의

KIDS 도구는 4가지 놀잇감과 KIDS 도구 이용 매뉴얼, 월령별 KIDS 놀잇감 활용틀의 종합적 키트로 구성되어 있다. 4가지 놀잇감은 펠트북, 육면체 블록, 컵 블록, 칠교로 구성되어 있고, KIDS 도구 이용 매뉴얼은 키르기스어로 제작되었으며, 각 놀이도구의 목적, 이론적 근거, 월령별 놀이 방법, 관찰 및 주의 사항, 대체놀이, 기대효과의 내용을 포함한다. 관찰 및 주의 사항 항목에는 놀이 활동 동안 부모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부모가 어떤 반응을 보여야 하고, 어떤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KIDS 도구는 저개발국가에서 접근 가능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였으며, 현지에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United Nations (UN) 총회가 빈곤을 퇴치하고, 경제사회의 양극화, 각종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 지속가능한 발전의 위협요인을 완화하기 위해 채택한 17가지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중 불평등 해소에 초점을 맞춰, 본 연구에서는 저개발국가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아동 성장발달을 위해 저비용으로 현지에서 쉽게 이용가능한 나무, 헝겊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toolkit을 개발하였다.
놀잇감의 주요 전개 원리는 상징적 기능사고와 미세운동발달 촉진이다. 본 도구의 기본 준거틀인 월령별 상징적 기능사고 및 미세운동발달 준거틀은 Westby [16]의 상징적 사고이론과 성장발달의 연속성을 강조한 미국 소아과 협회의 bright future [17]의 성장발달 milestone에 기반하여 개발되었다. Westby [16]의 이론에 따르면 상징발달은 전 상징적 수준 2단계, 상징적 수준 8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전 상징적 수준에서는 아동이 다른 사람과 같은 사물을 보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는 공동의 참조를 확립하게 되는데, 이는 사물과 사회의 인식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준거틀은 이 중에서도 전 상징적 수준에서 상징적 수준 4단계인 6~36개월까지의 상징적 사고 발달 원리에 해당한다. 상징놀이 중 언어발달 부분에서는 Westby 발달이론이 8개월부터 제시되어 있었으나[16], 이 시기는 영아가 자신의 발성 및 조음기관을 탐색 및 조절하는 시기로 조기 개입이 중요하다고 권고하는 선행 연구[18]를 참고하여 bright future [19]의 6~9개월 언어발달 milestone을 참조하여 추가로 제시하였다. bright future에서 제시한 성장발달 milestone은 월령에 따른 대근육, 미세운동, 인지, 사회-정서 발달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16].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제시한 준거틀은 복잡한 전개도에서 특히 6개월에서 36개월까지의 주요한 미세운동원리를 반영하였다. 한편 상징적 기능사고와 미세운동발달을 주요 목적으로 한 것은 발달지연 아동비율이 높은 유사한 지역의 아동발달 특성을 반영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유아기의 발달지연(stunting)은 인지기능과 학업성취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유아기의 영양 부족은 미세운동을 관장하는 뇌의 영역을 미세하게 변화시켜 미세운동발달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2]. Westby [16]에 따르면 아동의 효과적인 놀이 환경을 위해서는 다양하게 조작하는 장난감, 질감이 다른 장난감, 따로 떼었다가 붙일 수 있는 장난감, 복잡한 상자 장난감이 필요하다. 본 성장발달 촉진 놀이도구에 포함된 펠트북, 육면체 블록, 컵 블록, 칠교는 이러한 상징적 기능사고와 미세운동 발달을 촉진하는 놀잇감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그림책을 이용한 가상역할놀이는 유아가 놀이의 역할에 몰입하여 자신의 정서와 타인의 정서를 인지함으로써 정서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인지발달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20]. 도구 이용 매뉴얼에서는 펠트북을 적절한 언어활동과 함께 놀이에 활용하도록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활동은 가상놀이 수준 향상에 도움이 된다[21]. 도구 이용 매뉴얼에는 펠트북의 도안을 첨부하여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헝겊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밸크로 소재를 사용하여 손으로 펠트 소품을 움직일 수 있어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다. 이러한 유아의 손을 이용한 놀이 활동은 유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 ․ 정서적 발달을 촉진한다[22]. 육면체 블록과 컵 블록은 쌓기 놀이를 기반으로 한다. 유아의 쌓기 놀이 활동은 소근육 운동 중 시각, 운동기능 발달 및 조정능력 발달을 촉진한다[23]. 이러한 쌓기 놀이를 통해 아동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며 상호작용을 증진할 수 있고, 쌓기 그 자체에 놀이를 한정하지 않고 쌓은 물체를 다른 대상으로 확장하며[24], 블록 구조물은 상징 활동 촉진의 매체로써 가상놀이를 이끌어낼 수 있다. 육면체 블록은 쌓기 놀이가 가능하며 현지에서 구하기 쉬운 나무 소재로 제작하였다. 육면체 블록은 겉의 육면체를 만들 수 있는 사각 블록과 육면체 안에 넣을 수 있는 모양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각 블록을 조립하고, 쌓기 놀이를 할 수 있으며 부수기 놀이도 가능하다. 또한 모양 블록을 구멍에 맞게 집어넣으며 미세운동발달을 촉진하고, 다양한 색깔과 모양을 구별함으로써 상징놀이를 위한 언어적, 사회적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컵 블록은 컵 모양의 9개의 크기가 다른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어 크기에 따라 쌓기가 가능하다. 컵 블록에 추가적인 실을 이용해 전화놀이를 하는 등 블록을 상징놀이의 매개체로 이용할 수 있다. 칠교 놀이는 다양한 도형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합하여 여러 가지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칠교 놀이는 유아의 모양에 대한 인식과 분류 기술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고, 7개의 조각을 만지고 삼각형, 사각형, 평행사변형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경험을 통해 기하학적 기초개념 이해를 돕는다[23].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의 효과성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놀이도구와 놀이방법이 영유아의 상징적 기능사고와 미세운동발달 촉진에 효과적인 기제를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놀잇감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놀잇감의 활용 방법 안내와 이의 적절한 교육이 중요하다[25]. 아동의 성장발달에서 중요한 요소는 아동의 내적 환경을 구성하는 미시체계[26]이나, 부모의 지도와 상호작용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수준인 근접발달지대[27]의 발달이 함께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 Vygotsky [27]에 따르면 아동 인지발달에 있어서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능력있는 성인의 도움으로 성취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있다고 한다. 또한 아동은 아동을 둘러싼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이 가족과 지역사회이다[26]. 따라서 아동의 놀이에서는 아동과 상호작용하는 부모가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부모와 아동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아동의 인지발달 촉진에 영향을 미친다[28]. 키르기스어로 제작된 도구 이용 매뉴얼은 각 놀잇감의 목적, 이론적 근거, 월령별 놀이 방법, 관찰 및 주의 사항, 대체놀이, 기대효과를 포함하여 놀이 과정에서 부모가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놀잇감을 어떻게 구성 및 구축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교육이 부모를 대상으로 제시되어 있다. 특히 월령별 놀잇감 활용틀은 부모가 아동의 월령에 따른 상징적 기능사고를 이해하고 적정한 놀이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점에서 실제로 부모가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구 이용 매뉴얼은 미시체계[26]이나 근접발달지대[27]를 강화하는 측면으로 아동의 성장발달 촉진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키르기스스탄의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관찰 및 연구한 선행 연구[13]에서는 키르기스스탄 부모가 자녀와 놀 이하는 동안 직접 또는 간접적인 명령을 주로 사용하며, 칭찬을 적게 사용하는 정보 중심 소통을 이용하며, 아동의 놀이 활동에 부모의 개입이 효과적이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양육 경험을 통해 부모 역할을 잘 해내고 있다는 확신이 필요하며, 아동과 긍정적이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다루는 부모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양육 효능감은 증진된다[29].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도구 이용 매뉴얼은 현재 이들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IDS 도구 효과 평가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부모교육군의 사용효과가 놀이노출군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유용성 영역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사용성, 신뢰성, 기능성 순이었다. 이는 아동의 특성에 맞추어 제작된 놀이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사용하는 아동의 부모가 효과적인 상호작용으로 인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부모교육이 중요한 요건이라는 선행 연구의 결과[30]와도 일치한다. 따라서 추후 지속적으로 이러한 도구를 활용하여 아동의 성장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활동을 위해서는 부모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27].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부모 대상 사용효과 평가에서 부모교육군의 유용성 영역의 점수가 높았던 것은 놀잇감의 원리와 월령에 따른 추후 사용법의 다양성을 교육받음으로써 한 순간의 놀이노출 이상의 사용성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놀이도구 활용을 위해서는 KIDS 도구 이용 매뉴얼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중요하고 특히 집에서 활용 가능한 대체놀이 교육과 월령별 단계에 따른 놀이 방법 교육 등의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접근성 영역에서 놀이노출군의 점수가 높았던 것은 놀이노출군이 놀잇감이 배치된 아동건강증진센터에서 시행되고 있는 health fair에 참여한 부모와 아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사용효과 평가 항목 중 접근성 영역만 두 군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접근성 영역의 질문은 ‘놀이도구 체험을 위해 악오르고/악오르도 보건소에 방문하는 것이 용이(편리)한가?’로 접근성에 대한 범위를 보건소와의 물리적 접근성과 놀이 체험에 대한 접근성으로 구분하지 않고 설문 조사하였다. 접근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제시하지 않고 설문을 진행하여 질문이 중의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용효과 평가 결과를 분석해보면 부모교육에 참여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신뢰성 항목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놀이도구의 목적, 이론적 근거, 월령별 놀이 방법, 관찰 및 주의 사항, 대체놀이, 기대효과가 포함된 매뉴얼을 이용한 부모교육과 KIDS 도구를 이용한 놀이노출은 발달지연에 대한 조기 개입, 아이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증진 및 놀이제공자로써 부모 역할 확립에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도구는 상징적 사고와 미세운동에 초점을 맞춘 놀이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따라서 놀이의 통합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였기에, 본 도구의 적용시 기타 효과에 대해 고려해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연구자에 의해 키르기스스탄 아이와 부모를 대상으로 놀이도구 및 매뉴얼이 작성되었기 때문에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된 제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추후 지속적인 반복 연구를 통해 문화적합성이 보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KIDS 도구의 사용효과 평가를 위한 저개발국가에서의 실무 적용 과정을 가졌다. 이 과정 중에 부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일반적 특성을 포함한 주요한 특성을 반영하여 효과검증을 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제시될 수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비율이 높은 저개발국가의 실정을 고려하여 영유아의 성장발달 촉진을 위한 방법으로 Kyrgyzstan Infants & toddlers Development Support (KIDS) 도구를 개발하였다. KIDS 도구는 저개발국가의 사회문화와 자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단순하고 접근 가능하며 현지 상황에 맞게 지속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저개발국가 아동의 취약한 상징적 사고와 미세운동발달 촉진을 목적으로 둔 KIDS 도구는 Westby [16]의 이론을 기반으로 4가지 놀이도구의 월령별 놀이 활용을 milestone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놀이도구를 다양한 월령에서 활용하도록 하여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보급시 비용효과적이고, 성장발달상 위험 요소가 있는 아동의 평등한 성장발달 잠재력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구 이용 매뉴얼은 올바른 놀이 방법을 제시하여 부모와 아동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도모하고, 아동의 놀이 몰입도가 향상되도록 돕는다. 자녀와의 친밀한 놀이를 통해 높아진 부모의 양육효능감은 아이 친화적 양육문화를 조성하고, 아동의 건강한 성장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개발된 도구를 적용하였을 때 아동의 미세운동 및 상징적 사고의 변화를 확인하는 효과 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고, 기타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정서적인 발달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적합성을 확인하는 지속적인 반복 연구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도구의 활용시 참여자의 주요 영향변수 및 특성을 반영하여 도구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RTICLE INFORMATION

No existing or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National Statistical Committee of the Kyrgyz Republic and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in the Kyrgyz Republic 2014: Final report [Internet]. Bishkek, Kyrgyzstan: National Statistical Committee of the Kyrgyz Republic and UNICEF; 2014 [cited 2019 March 14]. Available from: https://www.humanitarianresponse.info/sites/www.humanitarianresponse.info/files/assessments/kyrgyzstan_multiple_indicator_cluster_survey_2014.pdf

2. World Health Organization. Nurturing car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 framework for helping children survive and thrive to transform health and human potential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19 March 14].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72603/9789241514064-eng.pdf?sequence=1&isAllowed=y

3. Chang SM, Walker SP, Grantham-McGregor S, Powell CA. Early childhood stunting and later fine motor abilitie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010;52(9):831-836. https://doi.org/10.1111/j.1469-8749.2010.03640.x
crossref
4. Song SO. The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17;8(3):493-509. https://doi.org/10.22143/HSS21.8.3.27

5. Alegre A. The relation between the time mothers and children spent together and the children's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Child and Youth Care Forum. 2012;41(5):493-508. https://doi.org/10.1007/s10566-012-9180-z
crossref
6. Sanner CM, Neece CL. Parental distres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behaviors as mediato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8;27(2):591-601. https://doi.org/10.1007/s10826-017-0884-4
crossref pdf
7. Grantham-McGregor S, Cheung YB, Cueto S, Glewwe P, Richter L, Strupp B. Developmental potential in the first 5 years for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Lancet. 2007;369(9555):60-70. https://doi.org/10.1016/S0140-6736(07)60032-4
crossref
8. Nijhof SL, Vinkers CH, van Geelen SM, Duijff SN, Achterberg EJM, van der Net J, et al. Healthy play, better coping: The importance of play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n health and disease.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2018;95:421-429. https://doi.org/10.1016/j.neubiorev.2018.09.024
crossref
9. Dusing SC, Tripathi T, Marcinowski EC, Thacker LR, Brown LF, Hendricks-Muñoz KD. Supporting play exploration and early developmental intervention versus usual care to enhance development outcom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o hom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ediatrics. 2018;18(1):46. https://doi.org/10.1186/s12887-018-1011-4
crossref pdf
10. Case-Smith J, Frolek Clark GJ, Schlabach TL.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 to promote motor performance for children ages birth-5 year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13;67(4):413-424. https://doi.org/10.5014/ajot.2013.005959
crossref
11. Orr E, Gava R. Symbolic play and language development.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5;38:147-161. https://doi.org/10.1016/j.infbeh.2015.01.002
crossref
12. Vygotsky LS. Play and its role in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child. Soviet Psychology. 1967;5(3):6-18.
crossref
13. Akimbaev EM, Shin H Qual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 in underserved migrant area. Paper presented at: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Child health and nursing education. 2018 July 11; Conference Hall; Kyrgyz State Medical Academy (KSMA). Bishkek: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World Bank. Annex B: Global assessment of UNICEF'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kit, 2009-2015 [Internet]. New York: UNICEF Evaluation Office; 2015 [cited 2016 July 24]. Available from: https://www.unicef.org/evaluation/files/Annex_B_Global_Assessment_UNICEFs_ECD_Kit_2009-2015_FINAL7.29.16.pdf

15. Morville P. User experience design [Internet]. Michigan: Semantic Studios; 2004 [cited 2019 March 13]. Available from: http://semanticstudios.com/user_experience_design/

16. Westby C, editors. A scale for assessing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In: Gitlin-Weiner K, Sandgrund A, Schaefer C, editors. Play diagnosis and assessment. 2nd ed. New York: Wiley; 2000. p. 15-57.

17. Hagan JF, Shaw JS, Duncan PM. Bright futures: Guidelines for health supervision of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4th ed. IL: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7. p. 81-83.

18. Baek YH, Jung K.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temperature, maternal personality, and maternal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017;17(3):173-194. https://doi.org/10.21214/kecse.2017.17.3.173
crossref
19. Hagan JF, Shaw JS, Duncan PM. Bright futures: Guidelines for health supervision of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4th ed. IL: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7. p 469.

20. Song SO, Choi MS. Development and effects of emotional competence improv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focusing on role play using picture books. The Korean Society for Child Education. 2015;24(3):199-224. https://doi.org/10.17643/KJCE.2015.24.3.11
crossref
21. Kim KJ, Byun EM. The effect of language activities utilizing fantasy picture books on children's pretend play level and linguistic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2011;11(4):189-211.

22. Byun SW, Seo H, Han HJ.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fingertip play program for the development small muscle function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2012;8(5):5-24.

23. You YH. Effect of block play on spatio-temporal capacity for memory and improvement of fine-motor func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7;12(3):603-612. https://doi.org/10.21097/ksw.2017.08.12.3.603
crossref
24. Kim WT, Jang HJ. Analysis of the meaning on young children's block play.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17;25(1):99-121. https://doi.org/10.18230/tjye.2017.25.1.99

25. Redding RE, Mulford C, Mendoza MM.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In: Levesque RJR, editors. Encyclopedia of adolescence. Switzerland: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6. p 18.

26. Bronfenbrenner U, Morris PA. The bioecological model of human development In: Richard ML, editor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th ed.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and Sons Inc; 2006. p. 793-828.

27. Vygotsky L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1st e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p 86.

28. Britto PR, Lye SJ, Proulx K, Yousafzai AK, Matthews SG, Vaivada T, et al. Nurturing care: Promot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 Lancet. 2017;389(10064):91-102. https://doi.org/10.1016/S0140-6736(16)31390-3
crossref
29. Wee SY, Park JY. Effects of a play-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 on mother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pecial Education Research. 2016;15(4):141-161. https://doi.org/10.18541/ser.2016.11.15.4.141
crossref
30. Howell KH, Miller LE, Lilly MM, Burlaka V, Grogan-Kaylor AC, Graham-Bermann SA. Strengthening positive parenting through intervention: Evaluating the moms' empowerment program for women experienc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015;30(2):232-252. https://doi.org/10.1177/0886260514533155
crossref

Fig. 1.
Research flow.
chnr-25-2-154f1.jpg
Fig. 2.
Framework of the KIDS play toolkit (Korean version).
chnr-25-2-154f2.jpg
Fig. 3.
Utilization test result.
chnr-25-2-154f3.jpg
Table 1.
KIDS Manual and Play Materials
Tool Products Construction
Felt-book chnr-25-2-154i1.jpg 18 Pages of felt (the mirror game, peekaboo, closing the zipper, Velcro shoes, clothing play, feeding play, treasure hunt, poo-poo, kitchen play 1&2, firefighting, hospital play, laundry, the insect game, puzzle)
Sorting and assembling chnr-25-2-154i2.jpg 30 Square blocks (6 colors, 15×15cm), 24 shaped block (6 colors, 6 shapes, 4×4cm)
Cup-blocks chnr-25-2-154i3.jpg Two shapes (star and cylinder), 8 blocks of different sizes
Tangram chnr-25-2-154i4.jpg The square-shaped plastic plate consists of two large right triangles, one right triangle, two small right triangles, a square, and a parallelogram.
Utilization guidebook chnr-25-2-154i5.jpg Published in the Kyrgyz language.
Manual describing the purpose of play, the rationale of each play tool, easy methods of playing with children of various ages, precautions, alternative play methods, and expected effects.
Table 2.
Results of the Utilization Test in the Parent Training and Play Exposure Groups (N=145)
Variables Group 1 (Parent training) Group 2 (Play exposure) t p
Usability 4.77±0.38 4.46±0.87 2.99 .003
Accessibility 4.60±0.54 4.68±0.63 0.63 .450
Usefulness 4.81±0.31 4.45±0.93 3.44 .001
Desirability 4.64±0.82 4.50±0.85 3.00 .003
Credibility 4.88±0.33 4.61±0.64 2.21 .029
Functionality 4.86±0.35 4.61±0.64 3.29 .001
Total 4.75±0.31 4.60±0.56 2.21 .029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8,305
View
160
Download
Related article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