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4(4):2018 > Article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질 비교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s perceived by registered nurses and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in South Korea.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recruited 70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nd 70 nurses in pediatric units in university hospitals as participants. The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was measured us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scores for 19 items describing various elements of nursing ca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hospitalized children mothers’mean importanc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urses (t=2.94, p=.004).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performance scores of nurses and mothers (t=0.91, p=.363) or between nurses’and mothers’perceptions of quality of nursing care, with the exception of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quality of explanations (t=2.78, p=.006). The quality of explanations was assessed more positively by nurses than by mothe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pediatric wards, ensuring that pediatric nurses provide detailed explana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pediatric units.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 현장에서 최선의 간호 실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요구를 확인하면서 지속적으로 간호의 질을 평가하여 질을 개선하고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 간호의 질 평가를 위해 간호 서비스의 질을 평가하거나 대상자의 간호 요구나 만족도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서비스의 질만으로는 다차원적 간호의 질 측정에 부족함이 있고, 대상자의 간호 요구나 간호 만족도만을 분석하는 것은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에 한계가 있다[2]. 또한 간호가 제공될 때 대상자와 간호사 사이에 인식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간호의 수요자와 제공자 사이에 간호의 질에 대한 인식의 정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3].
최근 국내 아동간호 영역에서도 간호의 질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Choi와 Bang [4]이 아동간호의 질에 대한 개념을 분석한 이래, Bae와 Lee [5]는 입원아동 어머니와 간호사 간의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불안과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Kim과 Cho [6]는 아동병동에 입원한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간호 요구와 간호의 질을 파악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Jeong과 Kwon [7]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 요구와 간호사의 수행을 분석하여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규명하였다.
이와 같이 아동간호의 질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입원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우리나라 소아청소년과 병동에 주로 신생아기부터 학령전기까지의 아동이 입원한다는 보고[8]와 연관성이 깊다. 즉, 입원아동 대상자 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학령전기까지의 아동은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없어 보호자로부터 절대적인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보호자와 분리될 때 불안과 공포를 경험하기 때문에 입원아동의 보호자는 아동간호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대상자로 간주된다[7]. 입원아동의 보호자 중에서도 특히 어머니는 아동에 대해 다량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아동의 입원기간 동안 병원에 상주하여 간호의 많은 영역에 참여하기 때문에[6]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평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입원아동 어머니의 간호 요구가 간호사의 전문적인 지식에 비추어 적합할 때 입원아동과 보호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간호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9]. 그러므로 입원아동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돌봄 행위에 대하여 입원아동 어머니와 간호사 사이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여 그 차이를 최소화하면서 간호 대상자의 평가가 낮은 돌봄 행위를 중심으로 간호를 개선하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10,11].
국내 ․ 외에서 간호의 질을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해 대상자와 간호사의 인식을 분석한 선행 연구는 다방면에서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다양한 성인 대상자를 중심으로 간호 요구도와 간호 만족도, 간호 요구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간호사의 인식 정도와 비교하는 연구가 주로 시행되었으며[9-15], 아동간호 영역에서 대상자와 간호사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 중 환자의 눈을 통한 간호의 질(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QUOTE) 측정도구는 1990년 후반에 평가 방법이 개발된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환자중심간호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간호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호주, 캐나다, 미국 등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방법이다[2]. 특히 QUOTE는 각각의 문항에 대해 중요도와 수행도를 측정한 후 ‘10-(중요도×수행도)’ 공식을 사용하여 간호의 질을 지수로 표현하는 평가법으로 대상자의 간호 요구와 간호사의 수행, 간호의 질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16]. 국외에서는 간 질환자[16], 에이즈 환자[17], 임산부[18], 천식 아동[19] 등 다양한 대상자에게 QUOTE를 적용하여 간호의 질을 측정하고 있다[2]. 국내에서도 입원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Cho, Oh와 Jung [20]이 QUOTE를 적용하여 입원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 QUOTE-Child를 개발하였고, Jeong 등[21]은 분만간호의 질 측정도구에 QUOTE를 적용하여 QUOTE-Birth를 개발하는 등 국내외에서 QUOTE 적용연구가 다양한 대상자에게 시도되고 있다.
아동간호의 철학적 근간은 아동과 가족을 모두 간호의 대상자로 여기는 가족중심간호에 있다[22,23]. 따라서 본 연구자는 가족중심간호에 대한 철학적 배경을 가지고 간호의 질을 측정하는 QUOTE-Child [20]를 사용할 때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가장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QUOTE 방법으로 평가하는 Cho, Oh와 Jung [20]의 QUOTE-Child를 사용하여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을 평가하고 어머니와 간호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입원아동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질을 파악하고, 그 차이를 비교 ․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입원아동 간호의 수행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입원아동 간호의 질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아동병동 간호의 질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비교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아동병동 간호사와 아동병동에 입원한 환아의 어머니이다. 아동병동 간호사는 대학병원, 종합병원, 아동전문병원에서 주로 아동이 입원하는 병동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생아실, 신생아집중치료실, 소아중환자실, 소아암 병동, 간호 ․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는 제외하였다. 입원아동 어머니는 본 연구에 참여하는 간호사가 소속된 병동에 입원 중인 신생아기, 영유아기,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로 한정하고 폐렴, 상기도 감염, 열, 위장염 등 급성질환 아동의 어머니를 포함시켰으며 만성질환, 중증질환 아동의 어머니는 제외하였다. 이는 아동병동에 입원하는 아동의 대부분이 신생아기부터 학령전기까지의 아동이며, 주로 호흡기계통이나 소화기 계통의 급성질환으로 입원한다는 보고[8]를 근거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표본크기를 산출하기 위하여 G*Power 3.1.3 프로그램[24]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50, 검정력 .80일 때 필요한 표본 수는 그룹 당 64명씩, 총 128명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25쌍, 경기도 10쌍, 경상도 20쌍, 전라도 20쌍, 강원도 5쌍으로 총 80쌍을 표집하였다. 응답이 성실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여 서울 24쌍, 경기도 8쌍, 경상도 18쌍, 전라도 15쌍, 강원도 5쌍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70쌍, 즉 아동병동 간호사 70명과 입원아동 어머니 70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Cho 등[20]이 입원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QUOTE-Child이며 도구사용에 대한 사전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존중(6문항), 설명(7문항), 친절(3문항), 숙련(3문항)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원 도구는 입원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이므로 본 연구에서 간호사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문항의 표현을 일부 수정하였고, 이에 대해 아동간호학 교수 2인과 아동병원 수간호사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정 받은 후 사용하였다. 각각의 문항에 대해 중요성과 수행 정도를 측정한 후 간호의 질을 산출하였다.

1)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문항을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중요하지 않다 1점, 조금 중요하다 2점, 중요하다 3점, 매우 중요하다 4점으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병동 간호에서 중요도가 높은 간호임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Cronbach’s ⍺는 .93이었고[20],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는 .94였다.

2) 입원아동 간호 수행

입원아동 간호의 수행은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전혀 그렇지 않다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대체로 그렇다 3점, 그렇다 4점으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병동 간호에서 수행 정도가 좋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Cronbach’s ⍺는 .95였고[20],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는 .92였다.

3) 입원아동 간호의 질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QUOTE-Child [20]의 간호의 질 산출 방법을 따랐다. 수집된 간호의 중요성 점수를 중요하지 않다 0점, 조금 중요하다 3점, 중요하다 6점, 매우 중요하다 10점으로 환산하였다. 또한 수집된 간호 수행 점수는 전혀 그렇지 않다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0.67점, 대체로 그렇다 0.33점, 그렇다 0점으로 환산하였다. 그리고 아동병원 간호의 질 점수는 ‘10-(중요성 점수x수행 점수)’로 산출하였다. 최저 0점에서 10점까지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병동 간호의 질이 좋음을 의미한다.

4.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해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윤리심의위원회 심의에서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IRB No. WKIRB-201805-SB-035).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8년 5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이루어졌다. 서울 2개 대학병원, 경기도 1개 종합병원, 경상도 2개 대학병원, 전라도 1개 대학병원과 1개 아동전문병원, 강원도 1개 대학병원의 기관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협조를 구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에게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절차 및 방법, 연구 참여에 따른 혜택과 위험 및 손실에 대한 보상, 개인정보 보호, 동의 철회에 관한 내용에 대해 설명문을 제공하고 구두로 설명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해 서면동의서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에 자가 보고하는 방법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설문지를 작성하는 데에 걸린 시간은 평균 10분 정도 소요되었다.

5.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 수행, 간호의 질 정도는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중요성, 수행, 간호의 질 정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연 구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평균 연령은 29.51±7.15세이었다. 30.0%의 간호사가 기혼이었고, 자녀가 있는 간호사는 17.1%였다. 간호사의 학력은 대졸이 71.4%로 가장 많았고, 전문대졸 24.3%, 대학원졸 4.3%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위는 간호사 80.0%, 책임간호사 17.1%, 수간호사 2.9% 순이었으며, 아동병동 경력은 평균 4.23±4.58년이었고 총 간호 경력은 6.99±7.31년이었다.
입원아동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36.37±6.53세였다. 학력은 대졸 70.0%, 대학원졸 20.0%, 고졸 10.0%로 나타났으며, 평균 소득은 500만원 이상이 32.9%로 가장 많았다. 입원아동의 나이는 평균 3.11±2.78세였고, 입원횟수는 평균 1.49±0.79회로 나타났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4.59±3.11일이었다.

2.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 정도의 차이는 Table 2와 같다.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 평균 점수는 입원아동 어머니(3.61±0.33)가 간호사(3.42±0.42)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94, p=.004).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존중(t=2.59, p=.011), 설명(t=2.73, p=.007), 친절(t=2.35, p=.020), 숙련(t=2.22, p=.028)의 모든 영역에서 입원아동 어머니가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집단 모두 설명, 숙련, 친절, 존중 순으로 높았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존중 영역에서 ‘간호사는 내 아이의 선호에 맞추어 돌보아주었다(t=2.68, p=.008).’, ‘간호사는 내 아이의 연령대에 눈높이를 맞추어 돌보아주었다(t=2.27, p=.025).’, ‘간호사가 처치하면서 내 아이의 반응에 적절하게 반응하였다(t=4.12, p<.001).’, ‘나는 간호사를 믿을 수 있었다(t=2.59, p=.011).’의 문항이 입원아동 어머니의 점수가 간호사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설명 영역에서는 ‘간호사는 검사나 처치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2.28, p=.024).’, ‘간호사는 약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3.56, p=.001).’, ‘간호사는 퇴원계획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2.38, p=.019).’, ‘간호사는 나의 질문에 정확한 답변을 해주었다(t=2.06, p=.041).’의 문항에서 입원아동 어머니의 간호 중요성 점수가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친절 영역에서는 ‘간호사는 내 아이에게 친절하였다(t=2.81, p=.006).’, ‘간호사의 표정이 따뜻하였다(t=3.22, p=.002).’ 문항의 점수가 아동병원 간호사보다 입원아동 어머니가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숙련 영역에서는 ‘간호사는 정맥주사를 잘 놓았다(t=3.94, p<.001).’ 문항에서 입원아동 어머니의 중요성 점수가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입원아동 간호의 수행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입원아동 간호의 수행 정도의 차이는 Table 3과 같다. 아동병동 간호사가 인식한 수행 정도는 3.22±0.35점이었고,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수행 정도는 3.15±0.45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0.91, p=.363).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존중(t=0.44, p=.657), 설명(t=1.97, p=.051), 친절(t=0.00, p>.999), 숙련(t=0.42, p=.674)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사가 인식한 입원아동 간호의 수행 정도는 설명, 친절, 존중, 숙련 순이었고,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수행 정도는 친절, 존중, 설명, 숙련 순으로 나타났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존중과 친절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문항이 없었다. 설명 영역에서는 ‘간호사는 기구 작동법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문항에서 아동병동 간호사가 인식한 수행 정도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90, p=.004). 그리고 숙련 영역에서는 ‘간호사는 정맥주사를 잘 놓았다.’ 문항에서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수행 정도가 간호사가 인식한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4.20, p<.001).

4. 입원아동 간호의 질

아동병원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입원아동 간호의 질 정도의 차이는 Table 4와 같다. 아동병동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의 질은 8.12±0.92였고,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질은 7.82±1.2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65, p=.101). 영역별로 살펴보면, 존중(t=0.96, p=.341), 친절(t=0.62, p=.534), 숙련(t=0.09, p=.927) 영역에서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설명 영역에서는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의 질 점수가 입원아동 어머니의 간호의 질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2.78, p=.006).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의 질은 설명, 친절, 존중, 숙련 순이었으며,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질은 친절, 존중, 설명, 숙련 순이었다.
문항 별로 살펴보면, 존중 영역에서 ‘간호사는 내 아이의 연령대에 눈높이를 맞추어 돌보아주었다.’ 문항이 입원아동 어머니보다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의 질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t=2.17, p=.032). 설명 영역에서는 ‘간호사는 기구 작동법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3.50, p=.001).’, ‘간호사는 검사나 처치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2.47, p=.015).’, ‘간호사는 투약 방법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2.36, p=.020).’, ‘간호사는 약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2.27, p=.025).’, ‘간호사는 퇴원계획에 대해 설명해주었다(t=2.70, p=.008).’ 문항에서 입원아동 어머니보다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의 질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숙련 영역의 문항에서는 ‘간호사는 정맥 주사를 잘 놓았다.’는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고(t=2.77, p=.006), ‘간호사는 내 아이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였다.’는 아동병동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t=2.21, p=.029).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중요도, 수행 정도, 간호의 질을 비교하여 어떠한 일치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 모두 간호사가 처치나 간호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입원아동 간호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원아동 보호자의 간호 요구 중 가장 요구도가 높은 간호가 ‘입원아동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간호사의 설명’이라고 보고한 선행 연구의 결과[6]와 일치하였다. 자녀가 입원하는 사건만으로도 입원아동의 보호자는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하고, 입원아동의 질병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한 정보 부족은 보호자의 불안을 더욱 증폭시키므로 입원아동 보호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5]. 그러므로 아동병동 간호사 역시 입원아동 간호에서 중요한 것이 설명이라고 보고한 것은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간호 제공을 통해 아동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바람직한 결과라 생각한다.
한편, 아동병동 간호의 중요성에 대한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의 인식에서 19개 문항 중 11개 문항이 간호사가 인식한 중요도 점수보다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중요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성인을 대상으로 중요도를 조사한 선행 연구[10-12]와는 상반된 결과이며, 간호 ․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의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Kim과 Kim [13]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재활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환자보다 간호사가 인식한 재활간호 요구의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았고[10,11], 입원한 성인 환자에서도 간호 요구에 대한 간호사의 중요도 인식이 환자보다 더 높았다[12]. 반면 간호 ․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입원한 환자가 인식한 간호의 중요도가 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3].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보호자가 인식한 간호 중요도를 분석한 선행 연구가 없어 본 연구 결과와 직접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이러한 차이에 주목하고 아동간호 실무에 적용할 점을 생각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아동간호는 가족중심간호를 표방하여 입원한 아동뿐 아니라 그 가족을 간호의 대상으로 여기며, 입원아동과 가족이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지향한다[22,23]. 아동간호에서 가족은 소극적 자세로 간호를 일방적으로 제공받는 대상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입원아동의 간호에 대해 의사결정하고 간호를 수행하는 또 하나의 주체이다[2]. 양질의 입원아동 간호를 위해서 중요도가 높은 간호를 잘 수행해야 하며[20], 아동간호사와 입원아동 가족이 인식하는 간호의 중요도가 일치해야 한다[9-15]는 맥락에서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 중요도가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아동병동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간호사는 입원아동과 가족이 원하는 간호가 무엇인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뿐 아니라 간호 요구에 대한 중요성이 간호의 방향과 일치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입원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간호라고 나타난 설명 영역에 대한 수행도를 살펴보면, 간호사의 평가에서는 수행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으나 입원아동 어머니의 평가에서는 세 번째로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아동병동 간호사는 환아와 보호자에게 입원아동의 상황과 처치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고 자가 평가하였으나, 실제로는 간호사의 설명이 입원아동 어머니의 입장에서는 충분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는 아동병동에서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 간의 정보 공유가 낮은 수준이었고[5], 입원아동 보호자의 간호 요구 중에서 상담 및 교육에 대한 수행이 가장 낮았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2]의 결과와도 연결된다. Kuethe 등[19]은 실제 입원아동의 보호자가 요구하는 것은 정보를 제공했다는 행위 자체가 아니라 어떠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기구 작동법에 대한 설명의 수행도에서 입원아동 어머니의 점수가 간호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따라서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호사가 입원아동 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아동과 보호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아동병동에서는 아동의 보호자가 입원아동 간호에 직접 참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구를 다루는 방법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 사이에 전체적인 간호의 질에 대한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수행에서와 동일하게 간호의 질에서도 설명 영역에 대한 질이 간호사의 평가에서는 가장 높은 반면 입원아동 어머니의 평가에서는 세 번째로 나타났고, 설명 영역에서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질 정도가 간호사가 인식한 수준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입원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간호의 질을 분석하였을 때 존중, 설명, 친절, 숙련 영역 중 설명 영역의 간호의 질이 세 번째로 높았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한다[5,6]. 문항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설명 영역을 구성하는 7개 문항 중 5개 문항에서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간호사는 입원아동의 간호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대상자의 입장에서는 충분한 설명이 아니었으며 간호사의 설명이 효과적이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설명에 대한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 간의 입장에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Bae와 Lee [5]는 아동병동에서 간호사의 설명이 다소 부족한 이유를 집중치료실 같은 특수병동에 비해 입원병동에서 간호사 한 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설명과 정보 공유에 할애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하지만 가족중심간호의 핵심 요소 중 하나가 정보 공유이며, 아동과 가족이 간호에 참여하고 협력하기 위해서는 입원아동의 상황과 처치 및 앞으로의 계획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25,26]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기구 작동법, 검사나 처치, 투약 방법, 약의 작용과 부작용, 퇴원계획 등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간호사의 설명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동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간호사가 충분한 설명을 제공할 만한 절대 시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아동병동 간호사가 담당하는 대상자의 적정 수를 산정할 필요가 있으며, 간호의 질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간호의 질 하위영역 중 숙련의 질 정도가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 모두에게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Bae와 Lee [5]의 연구와 Kim과 Cho [6]의 연구에서도 숙련 영역의 질이 가장 낮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숙련 영역은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 모두 두 번째로 중요한 간호라고 인식한 반면 수행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서도 입원아동 보호자가 간호사의 정확하고 노련한 간호 술기와 신속하고도 세심한 조치를 중요하게 여긴다고 보고하고 있다[6,7]. 따라서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호사의 술기를 훈련하여 수행 정도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숙련 영역 중 간호사의 정맥주사 기술에 대한 문항에서는 간호사보다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수행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간호의 질 역시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정맥주사에 대해 실제 환아 어머니가 평가하는 것보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자가 평가가 더 엄격하게 이루어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아동병동 간호사가 정맥주사에 대하여 가지는 부담감을 짐작하게 해준다. 따라서 아동병동 간호사는 아동에게 제공하는 간호 술기에 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반복적인 훈련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편, 입원아동의 안전간호와 관련된 질은 간호사보다 어머니가 인식한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원아동의 낙상예방에 대한 간호사의 교육이 환아 어머니의 요구에 비해 낮았다는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7]. 최근 임상현장에서는 환자의 안전간호를 위해 통증, 낙상, 욕창 등을 세심하게 관리하고 있다[10]. 그러나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안전간호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아동 간호사가 안전에 대해 더 민감한 주의와 관심을 기울이고 구체적인 안전사고 예방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보면 입원아동 간호의 중요성에서 아동병동 간호사의 인식이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것보다 낮았고, 입원아동 간호에 대한 설명이 가장 중요한 간호이지만 입원아동 어머니의 입장에서는 설명의 질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호 술기의 숙련 영역에서 간호의 질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입원아동과 가족이 요구하는 간호의 중요성에 대해 보다 민감해져야 하며,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 술기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정확하고 기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술기를 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입원아동 간호에 대해 중요도, 수행도, 질 정도를 간호사의 시각과 입원아동 어머니의 시각에서 비교 분석하여 가족중심간호를 지향하는 아동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와 가족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아동간호가 아동병동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가족중심간호를 이론적 기틀로 두고 개발된 QUOTE-Child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역과 대학병원, 종합병원, 아동전문병원을 포함한 다양한 수준의 병원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는 것이 강점이다.
다만 지역과 병원 수준에 따라 간호의 질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별, 병원 수준별로 아동간호사와 입원아동 보호자가 인식하는 간호의 질 차이를 규명하는 확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영유아기와 학령전기의 급성질환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기에 향후 중증질환, 만성질환, 학령기, 청소년기 등 다양한 입원아동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간호의 질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아동간호 현장에서 가족중심간호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연구에 더욱 활발히 활용할 것을 제언하며,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아동병동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아동병동 간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간호의 질을 비교 분석한 비교 조사연구이다. 입원아동 간호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입원아동과 가족의 요구에 대한 간호사의 민감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아동간호사는 입원아동의 상황과 현재의 처치 내용,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아동간호사의 술기 숙련을 위한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병동 간호사의 입원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고, 간호 술기를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아동병동 간호사가 입원아동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명하는 역량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사 한 명이 담당하는 적정 환아 수를 적용하였을 때 간호사의 설명의 질 개선 여부와 설명의 질 개선이 입원아동 간호의 질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Notes

No potential or any existing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Pelander T, Leino-Kilpi H, Katajisto J. The quality of paediatric nursing care: Developing the Child Care Quality at Hospital instrument for childr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2):443-4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8.04875.x
crossref pmid
2. Oh J, Cho H, Kim YY, Park HJ, Kim HK. An integrative review on development of “QUality Of care Through the patients' Eyes” (QUOTE) instrumen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15;30(4):E26-E31. https://doi.org/10.1097/NCQ.0000000000000127
crossref pmid
3. Papastavrou E, Efstathiou G, Charalambous A.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f caring behaviours: Quantitative systematic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7(6):1191-120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580.x
crossref
4. Choi M, Bang K.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6):757-764. https://doi.org/10.4040/jkan.2010.40.6.757
crossref pmid
5. Bae SY, Lee I. The effect of child's mother and nurse partnership on the anxiety and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care of hospitalized child's moth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7):516-528. https://doi.org/10.5762/KAIS.2017.18.7.516

6. Kim YY, Cho H. A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needs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and quality of care in pediatric uni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10):155-166.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155
crossref
7. Jeong E, Kwon IS. Nursing needs and nursing performance as perceived by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44-252.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44
crossref pdf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Statistical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Evaluation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8 January. Report No.: 11-1352000-000137-10.

9. Sharma K, Kataria T, Bisht SS, Goyal S, Gupta D. Satisfaction level and perception of quality in cancer care: A comparison between pati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Journal of Health Management. 2014;16(1):67-77. https://doi.org/10.1177/0972063413518683
crossref
10. Kim KJ, Lee EJ, Bang GW, Lee YJ.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patients' and nurses' perspectives on rehabilitation nursing servic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6;19(1):43-54. https://doi.org/10.7587/kjrehn.2016.43
crossref pdf
11. Lee EH, Ko E. Comparison wi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rehabilitation nursing need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 rehabilitation hospital and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6;19(1):30-42. https://doi.org/10.7587/kjrehn.2016.30
crossref pdf
12. Lee NY, Han JY, Heo MJ. Comparison of satisfaction and need on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the patients and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5;26(1):169-177. https://doi.org/10.7465/jkdi.2015.26.1.169
crossref
13. Kim KN, Kim M. Comparison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n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the patients and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6):83-92.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6.19
crossref
14. Lee J, Han J, Lee M, Park G, Seo G. Nursing needs in perioperative period between patients and nurses in military hospital: Focused on orthopedic leg surgery patient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017;35(1):27-40.
crossref
15. Zheng R, Johnson J, Wang Q, Hu J. A need for cancer patien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patients and nurses: A comparison study. Support Care in Cancer. 2014;22(9):2457-2464. https://doi.org/10.1007/s00520-014-2226-z
crossref
16. Gutteling JJ, de Man RA, Busschbach JJV, Darlington ASE. Quality of health car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liver diseases: The development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QUOTE-Liver questionnaire. BMC Gastroenterology. 2008;8:25. https://doi.org/10.1186/1471-230X-8-25
crossref pmid pmc pdf
17. de Lima TC, de Freitas MIP. Cultural adaptation of quality of care through the patient's Eyes-QUOTE-HIV.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2017;71(1):47-56. https://doi.org/10.1590/0034-7167-2016-0113
crossref pdf
18. Martin L, Van Dulmen S, Spelten E, De Jonge A, De Cock P, Hutton E. Prenatal counseling for congenital anomaly tests: Parental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midwife performance. Prenatal Diagnosis. 2013;33(4):341-353. https://doi.org/10.1002/pd.4074
crossref pmid
19. Kuethe MC, Sixma HJ, Vanessen-Verberne AAPH, Booij JC, van Aalderen WMC. Assessing quality of care in pediatric asthma: Applicability of a revised version of the QUOTE-CNSLD questionnaire. Journal of Asthma. 2012;49(9):966-976. https://doi.org/10.3109/02770903.2012.721434
crossref pmid
20. Cho H, Oh J, Jung D.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for hospitalized child.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2):131-140. https://doi.org/10.4094/chnr.2015.21.2.131
crossref pdf
21. Jeong GH, Kim HK, Kim YH, Kim SH, Lee SH, Kim KW.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the quality of childbirth care from the mother's perspective.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2018;48(1):38-49. https://doi.org/10.4040/jkan.2018.48.1.38
crossref
22.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What is youth and family-centered Care? [Internet]. IL: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7 [cited 2018 May 15]. Available from: http://www.aap.org/en-us/professional-resources/practice-transformation/managing-patients/Pages/youth-family-centered-care.aspx

23. Shields L, Zhou H, Pratt J, Taylor M, Hunter J, Pascoe E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sed children aged 0-12 year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2;10.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4811.pub3

24.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crossref pmid
25.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Internet]. Arlington: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2012 [cited 2018 May 15]. Available from: http://ipfcc.org/about/pfcc.html

26. Jung SY, Tak YR.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1):28-36. https://doi.org/10.4094/chnr.2017.23.1.28
crossref pdf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Nurses and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N=140)
Variables Characteristics Categories M±SD n (%)
Pediatric nurses (n=70) Age (year) 29.51±7.15
Marital status Single 49 (70.0)
Married 21 (30.0)
Child None 58 (82.9)
At least 1 12 (17.1)
Education College 17 (24.3)
Undergraduate 50 (71.4)
Graduate 3 (4.3)
Religion None 45 (64.3)
Have 25 (35.7)
Position Head nurse 2 (2.9)
Charge nurse 12 (17.1)
Staff nurse 56 (80.0)
Pediatric experience (year) 4.23±4.58
Nurse experience (year) 6.99±7.31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n=70) Age (year) 36.37±6.53
Education High school 7 (10.0)
Undergraduate 35 (70.0)
Graduate 14 (20.0)
Monthly income (10,000 won) <300 18 (25.7)
300~390 17 (24.3)
400~490 12 (17.1)
≥500 23 (32.9)
Hospitalized child's age (year) 3.11±2.78
Number of hospitalizations 1.49±0.79
Number of days the hospital 4.59±3.11
Table 2.
Comparison of Importance Scores for Elements of Nursing Care in Pediatric Units between Nurses and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N=140)
Items Nurses (n=70)
Mothers (n=70)
t p
M±SD M±SD
Total 3.42±0.42 3.61±0.33 2.94 .004
Respect 3.38±0.43 3.56±0.40 2.59 .011
 1. The nurse listened to me carefully. 3.46±0.50 3.56±0.56 1.12 .266
 2. The nurse sympathized with my feelings. 3.41±0.53 3.37±0.57 0.46 .644
 3. The nurse took care of my child with consideration for my child's preferences. 3.20±0.55 3.46±0.58 2.68 .008
 4. The nurse took care of my child from his/her point of view. 3.37±0.52 3.57±0.53 2.27 .025
 5. The nurse reacted to my child's reactions very well when handling him/her. 3.36±0.57 3.71±0.46 4.12 <.001
 6. I could trust the nurse. 3.49±0.58 3.71±0.46 2.59 .011
Explanations 3.46±0.48 3.66±0.38 2.73 .007
 7. The nurse explained how the machines worked. 3.49±0.61 3.67±0.53 1.93 .056
 8. The nurse explained the tests and examinations. 3.57±0.53 3.76±0.43 2.28 .024
 9. The nurse explained the process of injection. 3.59±0.53 3.73±0.45 1.73 .085
 10. The nurse explained in detail for easier understanding. 3.57±0.53 3.64±0.48 0.84 .404
 11. The nurse explained the effects and side effects of the medicine. 3.33±0.63 3.69±0.55 3.56 .001
 12. The nurse explained the plan of discharge. 3.20±0.71 3.47±0.63 2.38 .019
 13. The nurse answered my questions with accuracy. 3.47±0.56 3.66±0.51 2.06 .041
Kindness 3.40±0.52 3.59±0.41 2.35 .020
 14. The nurse was kind to my child. 3.46±0.56 3.70±0.46 2.81 .006
 15. The nurse had a warm expression. 3.37±0.57 3.66±0.48 3.22 .002
 16. The nurse greeted me and my child. 3.39±0.60 3.41±0.53 0.30 .764
Skillfulness 3.44±0.46 3.60±0.38 2.22 .028
 17. The nurse was good with intravenous injections. 3.43±0.55 3.77±0.46 3.94 <.001
 18. The nurse did his/her best for my child's safety. 3.59±0.53 3.70±0.46 1.37 .173
 19. I could participate in the process if I wanted. 3.31±0.65 3.34±0.68 0.26 .799
Table 3.
Comparison of Performance Scores for Elements of Nursing Care in Pediatric Units between Nurses and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N=140)
Items Nurse (n=70)
Mother (n=70)
t p
M±SD M±SD
Total 3.22±0.35 3.15±0.45 0.91 .363
Respect 3.20±0.41 3.16±0.53 0.44 .657
 1. The nurse listened to me carefully. 3.27±0.51 3.26±0.63 0.15 .883
 2. The nurse sympathized with my feelings. 3.23±0.57 3.06±0.74 1.54 .127
 3. The nurse took care of my child with consideration for my child's preferences. 3.07±0.55 3.04±0.69 0.27 .786
 4. The nurse took care of my child from his/her point of view. 3.26±0.56 3.07±0.69 1.76 .081
 5. The nurse reacted to my child's reactions very well when handling him/her. 3.21±0.54 3.27±0.59 0.60 .549
 6. I could trust the nurse. 3.13±0.48 3.26±0.56 1.47 .145
Explanations 3.29±0.41 3.14±0.50 1.97 .051
 7. The nurse explained how the machines worked. 3.37±0.64 3.01±0.81 2.90 .004
 8. The nurse explained the tests and examinations. 3.46±0.56 3.30±0.57 1.65 .102
 9. The nurse explained the process of injection. 3.51±0.56 3.30±0.73 1.95 .053
 10. The nurse explained in detail for easier understanding. 3.33±0.56 3.30±0.55 0.31 .760
 11. The nurse explained the effects and side effects of the medicine. 2.99±0.67 2.87±0.82 0.91 .366
 12. The nurse explained the plan of discharge. 3.19±0.75 2.94±0.76 1.91 .059
 13. The nurse answered my questions with accuracy. 3.20±0.53 3.24±0.62 0.44 .661
Kindness 3.24±0.49 3.24±0.47 0.00 >.999
 14. The nurse was kind to my child. 3.34±0.54 3.31±0.53 0.32 .751
 15. The nurse had a warm expression. 3.14±0.60 3.26±0.50 1.23 .222
 16. The nurse greeted me and my child. 3.24±0.60 3.16±0.65 0.81 .420
Skillfulness 3.05±0.45 3.09±0.55 0.42 .674
 17. The nurse was good with intravenous injections. 2.69±0.75 3.20±0.70 4.20 <.001
 18. The nurse did his/her best for my child's safety. 3.37±0.52 3.21±0.54 1.77 .079
 19. I could participate in the process if I wanted. 3.10±0.62 2.86±0.86 1.93 .056
Table 4.
Comparison of Quality Scores for Elements of Nursing Care in Pediatric Units between Nurses and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N=140)
Items Nurses (n=70)
Mothers (n=70)
t p
M±SD M±SD
Total 8.12±0.92 7.82±1.22 1.65 .101
Respect 8.08±1.02 7.88±1.41 0.96 .341
 1. The nurse listened to me carefully. 8.22±1.32 8.20±1.55 0.05 .962
 2. The nurse sympathized with my feelings. 8.16±1.46 7.79±2.01 1.27 .208
 3. The nurse took care of my child with consideration for my child's preferences. 7.94±1.44 7.72±1.80 0.78 .439
 4. The nurse took care of my child from his/her point of view. 8.26±1.43 7.63±1.94 2.17 .032
 5. The nurse reacted to my child's reactions very well when handling him/her. 8.16±1.41 7.99±1.75 0.66 .512
 6. I could trust the nurse. 7.73±1.53 7.94±1.64 0.78 .435
Explanations 8.30±1.10 7.72±1.36 2.78 .006
 7. The nurse explained how the machines worked. 8.51±1.64 7.39±2.14 3.50 .001
 8. The nurse explained the tests and examinations. 8.64±1.44 7.99±1.64 2.47 .015
 9. The nurse explained the process of injection. 8.80±1.40 8.11±1.99 2.36 .020
 10. The nurse explained in detail for easier understanding. 8.19±1.65 8.18±1.52 0.05 .960
 11. The nurse explained the effects and side effects of the medicine. 7.70±1.70 6.93±2.28 2.27 .025
 12. The nurse explained the plan of discharge. 8.32±1.78 7.47±1.94 2.70 .008
 13. The nurse answered my questions with accuracy. 7.97±1.66 7.99±1.75 0.09 .926
Kindness 8.21±1.28 8.07±1.30 0.62 .534
 14. The nurse was kind to my child. 8.42±1.51 8.15±1.53 1.06 .290
 15. The nurse had a warm expression. 7.94±1.63 7.96±1.56 0.09 .929
 16. The nurse greeted me and my child. 8.26±1.49 8.11±1.58 0.62 .538
Skillfulness 7.68±1.26 7.65±1.60 0.09 .927
 17. The nurse was good with intravenous injections. 6.55±2.46 7.66±2.23 2.77 .006
 18. The nurse did his/her best for my child's safety. 8.39±1.40 7.82±1.66 2.21 .029
 19. I could participate in the process if I wanted. 8.08±1.40 7.50±2.10 1.95 .054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