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생명존중에 대한 중 ·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분석

Analysis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Portrayed in the 7th to 10th Grade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rticle information

Child Health Nurs Res. 2013;19(4):282-29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3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4094/chnr.2013.19.4.282
1Department of nursing,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2Department of nursing, Kaya University, Gimhae, Korea
3School of Health in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Edinburgh, Edinburgh, Scotland, UK
4College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강경아1, 김영희2, 이정재3, 이명남4,
1삼육대학교 간호학과
2가야대학교 간호학과
3School of Health in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Edinburgh
4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Corresponding author Myung-Nam Lee The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Nursing,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120-752, Korea TEL +82-2-3399-1585 FAX +82-2-3399-1594 E-MAIL janga3677@nate.com
Received 2013 August 21; Revised 2013 October 03; Accepted 2013 October 03.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ife respect-related content in the 7th to 10th grad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s.

Methods

Sixty two textbooks adopted as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for content on life respect.

Results

There were 6 categories related to life respect content in the 7th to 9th grade textbooks (「 prevention of accidents and the first-aid」, 「 mental health」, 「 sex and health」, 「 prevention of drug abuse, smoking and drinking」, 「 normal life and health」, and 「 society and health」). Content on life respect in the 10th grade textbooks was categorized as 「 drug abuse, smoking, drinking, and health」, 「 sex and health」, 「 mental health」, 「 life science and treating human life too lightly」, 「 normal life and health」, and 「 society and health」.

Conclusion

Content on life respect attached importance to more practical issue such as prevention of violence and suicide rather than fundamental understanding about self and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ent on life respect should help adolescents find their own values and meaning of life within the concept of coexistence.

Abstract

요약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중에서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 포함된 인간생명존중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중, 고등학생을 위한 인간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결과

중학교 과정인 7-9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생명존중 관련 내용은 총 6개로 범주화되었고 해당내용은 총 222개였다. 6개 범주는 빈도가 높은 순으로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정신건강」, 「성과 건강」, 「약물 오남용 및 흡연음주예방」, 「일상생활과 건강」, 「사회와 건강」이었다. 고등학교 과정인 10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인간생명존중 관련 내용은 총 6개로 범주화되었고 해당 내용은 82개였다. 6개의 범주는 빈도가 높은 순으로 보면 「약물 오남용, 흡연, 음주와 건강」, 「성과 건강」, 「정신건강」, 「생명과학과 인간생명경시」, 「일상생활과 건강」, 「사회와 건강」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중 · 고등학교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존중교육내용은 인간의 소중함에 대한 개념과 실천적인 이해, 자신의 본래의 가치 및 소중함과 진정한 삶의 의미 발견 등의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이해보다는 방법론적인 면에 치중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존하기 위한 경쟁’ 논리에 근거한 생명존중교육이 자신과 사회에 대한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청소년기 교육과정에 총체적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보건교과를 중심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신의 고유한 가치가 인식되며 진정한 삶의 의미가 실현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겠다.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인간생명은 그 자체로 특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구적 가치만을 갖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되며 서로 다른 인격체가 소유하고 있는 본질적 가치의 정도에 관한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Warren, 1997). 생명존중이란 목숨, 생명에 대하여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와 규범을 인식하고 인간 생명을 포함한 모든 생명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생명체를 함부로 해쳐서는 안 된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Lee, 2004).

교육(敎育)은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의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Minjung Publishing Co., 2000). 즉, 교육의 정의 속에는 ‘이기기 위한 경쟁’의 의미가 아닌 ‘공존하기 위한 경쟁’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존의 개념에는 ‘여러 개체가 환경을 공유하기 위하여 벌이는 종간 또는 종 안에서의 상호작용’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고(Minjung Publishing Co., 2000) 공존하기 위한 경쟁은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성 중심의 윤리 이론을 체계화한 칸트조차도 ‘윤리적 인간’에 도달하기 위한 참된 인간교육에는 동물성 또는 야수성을 길들이기 위한 훈육, 자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개발, 인간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지혜, 항상 선한 목적만을 선택할 수 있는 심성을 갖추는 것의 네 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Meleis, 2007). 칸트가 말한 교육의 사명은 인간 속에 잠재하는 모든 자연소질을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성의 완성으로 나아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재 국내 청소년 교육과 관련된 문제로, 초등학생의 53.1%가 가출 충동을 느꼈으며, 초 · 중학생의 75.6%가 친구를 집단 따돌림시켜 보았다는 연구보고가 발표되었고, 자살이 청소년기 사망원인 1위이며, 부모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교육비지출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최고이고, 2000년 이후 급격히 떨어지는 출생률과 이에 반해 소아청소년정신과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Lee, 2004; Statistics Korea, 2010) 결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이기기 위한’ 경쟁 위주의 교육현실이 가져온 병폐라고 할 수 있겠다. ‘이기기 위한 경쟁’ 논리에서는 보편적 객관주의에 근거한 평가를 하게 된다. 평가의 공정성을 강조하게 되면서 개인에 대한 평가결과는 개인의 능력을 대변하게 된다. 따라서 약자에게 강자의 삶의 형태가 강요되고, 개인의 존엄성과 개성을 존중하기 어렵고, 개인의 독특한 잠재적 능력을 발견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기 힘들게 되며, 공동체적 가치의식을 학습하기가 쉽지 않다(Kim, Kang, & Bang, 2010; Lee, 2004).

최근 국가에서는 이러한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응전략으로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대책을 수립하여 자살위기관리 프로토콜을 제작하고 사전예방, 위기관리, 사후대응전략을 세워 노력하고 있고, 초 · 중 ·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생명존중교육 및 자살위기관리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주로 자살예방에 초점을 둔 접근으로서, 보다 근본적으로 청소년의 실존적 요구를 고려한 인간생명존중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이러한 ‘이기기 위한’ 경쟁논리에 의한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한 개개인의 소중함과 가치를 깨닫고 각 개인의 고유한 개성과 재능에 초점을 맞춘 자신의 삶의 주인의식을 갖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자아정체성의 발견과 성립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인간생명존중에 대해 어떠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본다.

특히 보건교과는 다른 교과에 비해 이기기 위한 경쟁논리보다는 신체 · 심리 · 사회 · 영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강조할 수 있는 교과이다. 따라서 생명존중교육은 보건교과에서 체계적, 집중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교과를 포함하여 다른 교과목에서 인간생명존중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10학년)까지의 10년간은 ‘국민공통 기본교육기간’으로서 이 기간에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이라고 한다.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은 일반 학교 제7차 교육과정(1997-2007) 및 특수학교 제7차 교육과정(1998-2008) 시기에 처음 도입되어 적용된 교육과정으로 2007년 개정 일반 학교 교육과정과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도 그 명칭과 성격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또한 교과부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을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을 더 이상 전면적 또는 일률적으로 개정하지 않고, 수시로, 부분적으로 개정하기로 하였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등으로 교육과정을 명명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2013년부터 적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중에서 생명존중교육 내용이 분석되지 않은 중 · 고등학교에 해당되는 7-10학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7-10학년) 중에서 중 ·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되는 7-10학년용 교과서에 포함된 인간생명존중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중 · 고등학생을 위한 인간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용어 정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모든 국민에게 공통으로 필요한 기본 교과 중심의 일관성 있는 체제를 갖춘 국가 수준의 문서화된 교육과정이다. 현재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을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으로 보고 학교 급별 개념이 아닌 학년제 또는 단계 개념에 기초하여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이 계획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교 기간인 7-10학년에 해당되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내용만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교과서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위하여 사용되는 학생용의 서책, 음반, 영상 및 전자 저작물 등을 말한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 · 고등학교 과정인 7-10학년 교과서 중에서 중학교 교과서 보건 4권, 도덕 10권, 체육 15권, 과학 2권, 기술과 가정교과 6권과 고등학교 교과서 보건 3권, 생물 5권, 체육 6권, 국어 1권, 기술과 가정교과 5권으로 생명존중에 대한 주제가 다루어진 총 62권을 말한다.

생명존중

생명존중(life respect)이란 목숨, 생명에 대하여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와 규범을 인식하고 인간 생명을 포함한 모든 생명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Chung, 2002). 본 연구에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중 7-10학년에 해당되는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인간생명존중에 대하여 다룬 내용만을 의미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중 7-10학년에 해당되는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분석대상 교과는 중 · 고등학교 10개의 교과 중에서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도덕, 체육, 기술 · 가정, 국어, 보건, 생물(중학교-과학; 고등학교-생물) 6개 교과로 결정하였다. 분석대상 6개 교과의 교과서는 교육부(전 교육과학기술부)가 저작, 편찬한 교과서인 국정교과서를 발행하는 출판사 중에서 선택하였다. 초등학교와 달리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는 학교에 따라 선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출판사가 달라, 중학교의 경우 8개 출판사(교학사, 지학사, 미래엔컬쳐, 천재교육, 두산동아, 도서출판 디딤돌, 금성출판사, 중앙교육진흥연구소), 고등학교는 8개 출판사(두산동아, 금성출판사, 천재교육, 지학사, 교학사, 미래엔컬쳐그룹, 도서출판 형설, 중앙교육진흥연구소)에 해당되는 교과의 교과서 62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본 연구자들이 서점을 통해 국중 · 고등학교과정 중 7-10학년인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되고, 교육부 인정 교과서를 발행하는 출판사의 교과서 중에서 본 연구주제에 해당되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 62권을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교 과정인 7-10학년 교과서 62권에 나타난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자체가 목적이므로 이러한 분석에 효과적인 내용분석방법을 자료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 범주 설정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범주는 교과서 내용분석을 수행한 선행연구(Jung, Choi, & Li, 2010; Kim et al., 2008)를 참고하여 분석 범주를 미리 설정하지 않고 교과서 각 단원별 내용에 명시된 내용 중 인간생명존중에 관한 내용을 3인의 연구자가 각각 서술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며 분류하였다. 교과서 단원별 내용을 근거로 연구자 간 합의된 분석 범주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각 6개로 범주화되었다. 중학교 과정에 해당되는 7-9학년의 경우는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정신건강」, 「성과 건강」, 「약물 오남용 및 흡연음주예방」, 「일상생활과 건강」, 「사회와 건강」이었고,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되는 10학년 교과서 내용은 「약물 오남용, 흡연, 음주와 건강」, 「성과 건강」, 「정신건강」, 「생명과학과 인간생명경시」, 「일상생활과 건강」, 「사회와 건강」으로 구분하였다.

관련 내용의 표집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 범주에 근거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추출하는 하위 범주, 구체적 내용의 매 단계마다 교과서 내용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연구자 간에 내용의 검토와 의논을 통해 합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자료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인간생명존중과 관련되지 않은 단원에 대한 내용도 연구자 3명이 각각 점검한 후 누락된 내용이 없는지 확인 및 의논하였다.

하위 범주는 각 범주에 해당하는 교과서 하부단원 내용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고, 구체적 내용은 내용의 충실을 기하기 위해 교과서 하부단원별 주제들에 제시된 내용을 그대로 표현하였다.

분석단위 및 코딩방법

내용분석에 근거한 본 연구의 분석단위로 연구단위는 <인간생명존중>이며, 표집단위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중 7-10학년 교과서, 기록단위는 교과서 매 단원에 포함되는 각 문장, 상황단위는 인간생명존중과 관련된 내용으로 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교과서 분석 내용을 코딩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본 연구자인 3명의 코더가 각각 7-10학년 교과서를 자세히 검토하며 인간생명존중 관련 내용이 나오면 코딩지에 해당교과서 이름, 학년, 과목명, 단원명, 하부단원 및 하부단원별 주제에 포함되는 각 문장, 페이지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코딩과정에서 서로 일치되지 않거나 모호한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연구자의 주관하에 코더들 간의 신뢰도 계수에 근거하여 토의를 통해 일치된 의견을 찾아냈다.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내용분석에서 중요한 부분인 분석 범주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해당 전문가 5인의 검증을 거쳤으며 내용 타당도 계수에서 5인 모두 80% 이상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예비조사에서 분석 범주를 결정할 때 전문가 타당도뿐 아니라 연구자 3인이 여러 차례에 걸친 검토와 논의를 거쳐 상호 합의를 보았으며, 본 자료분석에 들어가기 전 3차례에 걸쳐 마련된 코딩기준에 따라 사전 연습을 거친 후 코딩기준에 익숙해진 상태에서 자료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코더 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과서를 분석할 때 연구자들끼리 모여 매 권마다 일치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일치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내용을 다시 확인하고 서로 의논한 후 분류하였다.

내용분석에서 신뢰도는 내용을 유목화할 때 코더 간의 일치도(신뢰도 계수)를 말한다(Kim & Yu, 2005). 이러한 신뢰도 계수는 내용분석에서 필수사항으로 내용분석에 따른 결과분석의 규칙과 근거가 된다. 코더 간 일치도를 측정하는 Holsti 방법에 의해 3인의 코더들 간의 일치도를 계산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평균 96%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Holsti 공식에 의한 신뢰도 계수는 약 90% 정도면 적당하다고 본다(Kim & Yu, 2005).

 =3MN1+N2+N3=876908=96

(N1+N2+N3: 연구자가 코딩한 전체 수, M: 연구자간 일치한 코딩 수)

연구 결과

인간생명존중 관련 내용의 학년 및 과목별 반영빈도

본 연구 대상 교과서 62권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개념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학년은 중학교 1학년 22권, 고등학교 1학년 19권, 중학교 2학년 12권, 중학교 2학년 9권 순으로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과목별로 분석한 결과, 인간생명존중 교육은 체육교과에서 다른 과목에 비해 2배 이상(20권) 다루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기술 · 가정, 도덕, 보건, 과학(생물), 국어 교과 순이었다(Table 1).

Frequency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by Grade · Subject type (N=62)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과서 내용분석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 과정 교과서에서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는 체육, 기술 · 가정, 도덕, 보건, 과학(생물), 국어 교과로 한정되어 있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Tables 2, 3에 제시하였다.

Analysis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the 7th-9th grade)

Analysis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 of the High School (the 10th grade)

중학교 과정인 7-9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생명존중 관련 내용은 총 6개로 범주화되었고 해당 내용은 총 222개였다.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상황별 응급처치 방법(37.4%)’과 ‘응급처치의 이해(3.6%)’로 총 41% (91개)를 차지하였으며 이를 「사고예방과 응급처치」로 범주화하였다. 그 다음으로 빈번히 다루고 있는 내용은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살예방(13.5%)’, ‘청소년의 우정/예절과 도덕(8.6%)’, ‘청소년기 정신건강 관리(6.3%)’이었으며 총 28.4% (63개)에 해당하였고 이를 「정신건강」 으로 범주화하였다. ‘건강한 임신과 피임(5.4%)’, ‘청소년의 성과 친구관계(4.5%)’, ‘성폭력의 이해와 예방과 대처(4.5%)’ 의 내용은 총 32개로 14.4%를 차지하였고 「성과 건강」으로 범주화하였다. 거의 비슷한 빈도로 다루어지는 내용은 ‘약물 오남용과 건강(5.4%)’, ‘흡연과 건강(4.5%)’, ‘음주와 건강(3.2%)’의 내용으로 총 13.1% (29개)를 차지하였고 이는 「약물 오남용 및 흡연 · 음주예방」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외에도 ‘건강의 이해’와 관련된 내용은 5개(2.3%)가 있었고 「일상생활과 건강」으로 범주화하였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사회건강’의 내용도 2건(0.9%)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를 「사회와 건강」으로 범주화하였다(Table 2).

고등학교 과정인 10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인간생명존중 관련 내용은 총 6개로 범주화되었고 해당 내용은 82개였다. 가장 많이 다루어진 주제는 ‘약물의 오남용과 건강(17.1%)’, ‘흡연과 건강(9.8%)’, ‘음주와 건강(8.5%)’으로 총 35.4% (29개)를 차지하였고 이를 「약물 오남용, 흡연, 음주와 건강」으로 범주화하였다. ‘성폭력과 성매매 예방(11.0%)’, ‘성문제와 대책(7.3%)’, ‘건강한 성의식과 성문화 이해하기(4.9%)’, ‘부모됨과 임신, 출산(4.9%)’은 두 번째로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로서 총 28.1% (23개)였고 「성과 건강」으로 범주화하였다. ‘정신건강의 이해(12.2%)’, ‘청소년기 정신건강문제(8.5%)’,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의 관계(3.7%)’, ‘폭력예방(1.2%)’은 세 번째로 많이 다루어진 주제로서 총 25.6% (21개)를 차지하였고 「정신건강」으로 범주화하였다. 나머지 3개의 범주는 조금 다루어진 주제이지만 고등학교 과정에서 평생건강에 관련하여 교육된 내용이었다. ‘생명공학의 문제점과 생명경시(3.7%)’, ‘생명경시(1.2%)’는 총 4.9% (4개)이었고 이를 「생명과학과 인간생명경시」로 범주화하였고, ‘건강과 삶의 질’을 다룬 내용은 3.7% (3개) 이었으며 「일상생활과 건강」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건강한 가족, 건강한 지역공동체’는 2.4% (2개)이었고 「사회와 건강」으로 범주화하였다(Table 3).

논 의

본 연구는 현 한국의 청소년들에게서 발생되는 집단따돌림, 학교폭력, 자살률 등이 국가 및 여러 교육단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육현장의 매우 시급한 문제가 되고 있음을 볼 때 총체적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간호사로서 학교 보건교과목에서 생명존중교육이 강화되어야 함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또한 근본적으로 생명존중 교육의 초점이 자살예방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인간정신의 이해, 삶의 의미의 재발견, ‘이기기 위한 경쟁’이 아닌 ‘공존하기 위한 경쟁’으로 보다 근원적인 개혁이 필요함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중 · 고등학교 과정인 7-10학년의 교과서 62권을 대상으로 생명존중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간 생명존중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가 중학교 2, 3학년이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에 비해 거의 절반 이하로 적었다. 인간생명존중 교육내용이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시작하는 시기인 7, 10학년에 보다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나 중 · 고등학교 시절은 자신에 대한 정체성뿐 아니라 올바른 공동체 의식이 정립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므로(Kim et al., 2013) 인간생명존중은 중 · 고등학교 전 교과과정에서 균등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인성과 정서에 대한 교육은 아동기부터 구체적으로 실시해야 하지만 특히 사춘기에 유의해야 한다고 하였다. 즉, 정상인이 되느냐 비정상인으로 탈선하느냐 하는 것은 청소년기에 어떻게 자신과 주변동료 및 공존하는 사회에 대한 정체성을 갖느냐에 따라 달려 있기 때문이다(Kang, Kim, & Song, 2011; Kim et al., 2013). ‘이해한다’ 함은 나를 남의 처지에 갖다 놓아보는 것 즉,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 보는 것인데(So, 1994), 그런 체험을 쌓기 위해서는 중 ·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한 생명존중교육이 심도 깊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중학교 과정인 7-9학년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생명존중교육에 관한 내용은 6개로 범주화되었다. 6개 범주는 빈도가 높은 순으로 「사고예방과 응급처치」, 「정신건강」, 「성과 건강」, 「약물 오남용 및 흡연음주예방」, 「일상생활과 건강」, 「사회와 건강」이었다. 생명존중에 관한 교육내용으로서 인간의 존재가치, 소중함, 자신의 잠재능력 등에 관한 내용은 총 222개의 교육주제 중에서 14개인 6.3%에 불과하였으며, 타인과 공존의 중요성을 인식케 하는 내용인 「사회와 건강」 범주는 단 2개인 0.9%에 불과하였다. 나머지 내용은 모두 구체적인 건강행위실천에 관련된 내용으로 단순한 신체 및 정신건강생활습관 및 사고예방에 관한 지식내용을 다루고 있어 ‘이기기 위한 경쟁’에서 초래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공존하기 위한 경쟁’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교육내용이 매우 미흡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고등학교 과정인 10학년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6개의 범주로 생명존중교육내용이 분류되었는데 빈도가 높은 순으로 보면 「약물 오남용, 흡연, 음주와 건강」, 「성과 건강」, 「정신건강」, 「생명과학과 인간생명경시」, 「일상생활과 건강」, 「사회와 건강」으로 구분되었다. 중학교 과정의 생명존중교육내용과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는데, 「정신건강」범주의 하위범주에 속하는 정신건강의 이해,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13개(15.9%), 「사회와 건강」 범주에서 2개(2.4%)로만 교육되고 있어,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식하고 그 가치들이 발현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도록 안내하는 교육내용이 극히 일부분만 다루어지고 있었다.

현재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존중교육내용은 교육(敎育)의 사전적 의미 중 ‘인격’보다는 ‘지식과 기술’을 연마시키는 데 집중되어 ‘이기기 위한 경쟁’을 위한 교육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생명과 삶의 의미 내용분석을 시도한 연구결과(Kim, Kang, & Bang, 2010)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인식하는 삶의 의미는 ‘이루기 위함’, ‘하기 위함’의 범주가 확인되었고, 의미있는 삶을 위해 해야 하는 방법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은 ‘열심히 함’, ‘봉사하기’, ‘올바로 함’ 등의 범주로 나타나 자신에 대한 소중함, 자신이 좋아하는 것 등을 발견하는 것보다는 목표에 대한 좋은 결과를 성취하는 것을 진정한 삶의 의미로 파악하고 있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중 · 고등학교 과정인 7-10학년 정규 학교 교육과정에서 생명존중 관련 교육내용이 매우 희박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내용분석결과는 자녀에 대한 교육열이 매우 높은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개념과도 관련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어머니의 자녀양육의 의미에 대해 중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문화기술지를 적용하여 연구한 Lee (2001)의 연구결과에서 한국 부모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열정이 확인되고 있었다. 거제도 중년층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이어서 첫 번째 범주는 지리적인 여건상 ‘재앙에 대한 염려’이었으나, 거제도의 지리적인 특성이 반영된 첫 번째 범주의 특성을 제외하고 ‘부모와는 다른 삶을 소망’하는 범주는 9개의 자녀양육에 관한 범주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범주이었다. 이 범주에 해당되는 속성에 ‘교육에 대한 욕심’, ‘장래에 대한 기대’가 있었다. 한국의 문화는 교육과 배움을 강조하는 유교의 영향으로 배운다는 것이 사람이 되는 근본이며 처세의 필수조건이라고 생각하는 문화적 특성이 있다. 따라서 부모들은 자신들의 노력으로 자녀가 더 나은 교육기회를 갖기를 소망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고 부모가 열심히 일하는 것도 자기 자신의 안일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녀를 위한 것이며 가족의 장래는 자녀에게 달려 있으며, 재산 · 명예 · 지위 · 자녀들 중에 자녀를 가장 가치롭게 생각하고 있었다(Lee, 2001).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생명존중 교육내용을 비교한 연구에서는(Chung, 2002), 한국과 일본은 생명존중에 있어서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는 점은 유사하지만, 한국은 가족중심의 인간존중교육을 전개하는 것에 비해 일본은 ‘자기 확립’과 ‘공생’의 조화를 통한 관계형성을 두드러지게 강조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일본이 학교 내 폭력이나 이지매 등을 한국보다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점은 한국에 비해 ‘공생’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는 점과 일맥상통하는 점이라고 본다. Chung (2002)의 연구결과에서도 한국은 Lee (2001)의 연구결과와 같이 교육의 의미 또한 가족중심적인 접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학교교육을 통하여 입신양명(立身楊名)의 길에 들어설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의식이 유교의 배움을 중요시하는 문화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겠다. 이러한 배움과 교육에 대한 열의는 자녀가 다른 아이들보다 앞서기를 원하는 학부모의 경쟁심리와 사교육을 부추기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고,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이기기 위한 경쟁’의 논리가 팽배해 있음을 알 수 있다(Lee, 2004). 본 연구를 통해 생명존중 교육에 대한 내용분석결과에서도 생명존중 교육 주제가 진정한 삶의 가치기준에 대한 ‘본질’을 탐색하기보다는 ‘이기기 위한 경쟁’에 필요한 ‘방법’적인 면에 치중되어 건강관리 영역의 교육이 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오늘날 교육현장에서는 상호존중의 미덕보다는 자신의 이해득실을 중시한 인간관계, 상호 간의 무관심, 공동체의식 결여 등의 문제가 현저하게 부각되는 가운데 생명을 중시하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생명존중교육에서는 모든 존재물들에 대한 ‘공생’의 가치를 인식하는 가운데, 삶의 과정에서 관계하게 되는 주위의 모든 세계와 조화를 이루어 나갈 수 있는 개인의 인식과 태도를 갖추도록 돕는 교육내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생명존중교육에서는 ‘자연’과 ‘나 아닌 다른 사람’이 주요 관심대상이며 교육내용은 첫째, 지성중심교육보다는 삶의 과정에서 무의미하게 여겨 왔던 것들의 진정한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감성회복교육이 강조되어야겠다. 둘째는 타인과의 경쟁을 자신과의 경쟁으로하는 교육이어야겠다. 즉, 자신에 대한 존재가치를 인식하고 스스로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주체’로서 갖는 ‘정체성’을 발견하도록 돕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는 교육을 통해 배운 내용이 실제의 삶에서 실천되며 삶과 통합되는 교육이어야겠다. 마지막으로 사람마다의 독특한 가치들을 인정하고 그러한 가치들이 자연스럽게 발현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바람직하다고 본다(Chung, 2002; Lee, 2004). 이를 위해서 현재 중 ·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각 범주에 해당되는 내용을 생명존중을 위해 실천해야 하는 본질적 의미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공존하기 위한 경쟁’ 논리에 근거한 생명존중교육이 자신과 사회에 대한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청소년기 교육과정에 총체적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보건교과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신의 고유한 가치가 인식되며 진정한 삶의 의미가 실현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겠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중 · 고등학교 기간인 7-10학년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존중교육내용은 인간의 소중함에 대한 개념과 실천적인 이해, 자신의 본래의 가치 및 소중함과 진정한 삶의 의미 발견 등의 인간생명존중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이해보다는 방법론적인 면에 치중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자신과 사회에 대한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청소년기 학교교육과정 내용에 ‘이기기 위한 경쟁’이 아닌 ‘공존하기 위한 경쟁’의 내용이 강조되는 생명존중교육 주제와 교육시간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2012 Sahmyook University research fund.

References

Chung M. R.. 2002;A comparative study of respect education for living things reflected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lementary curriculum between Korean and Japa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4):159–185.
Jung M. S., Choi H. W., Li D. M.. 2010;Analysis of nursing-related content portray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under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33–42.
Kang K. A., Kim S. J., Song M. K.. 2011;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finding meaning in life CD program for life-esteemed education of older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ociety Nursing Education 17(3):487–500.
Kim S. J., Kang K. A., Bang K. M.. 2010;Contents analysis of meaning in lif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4):287–296.
Kim H. S., Kang K. A., Kim S. J., Kim H. O., Moon S. Y., Park S. N., et al. 2013. Child adolescence health nursing Seoul: Koonja.
Kim S. J., Lee J. E., Kang K. A., Song M. K., Chang E. Y., Kim S. H.. 2008;Contents analysis of first ai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2):163–175.
Kim D. K., Yu J. C.. 2005. Mass media research Seoul: Naman.
Lee B. N.. 2004;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life-esteem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9(1):143–163.
Lee S. Y.. 2001;An ethnography of child-rearing experiences of Korean mothers living on Koje islan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4):518–535.
Meleis A. L.. 2007. Theoretical nursing: Development and progress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July 10. Textbook regulations . Retrieved August 2, 2008, from. http://www.mest.go.kr/me_kor/search/search.jsp.
Minjung Publishing Co. (Ed.).. 2000. Minjung's essence Korean-English dictionary 4th ed.th ed. Seoul: Author.
So K. H.. 1994;Life-respect and education. Life Research 2:291–296.
Korea Statistics. 2010. Annual report of death cause Seoul: Statistics Korea.
Warren M. A.. 1997. Moral status New York: Clarendon Pres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Frequency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by Grade · Subject type (N=62)

Curriculum Grade Subject Total textbook number
Physical education Technology · Home economics Moral education Health education Science (Biology) Korean language
Middle school 7 4 6 5 2 0 5 22
8 3 0 4 2 0 0 9
9 7 0 1 2 2 0 12
High school 10 6 5 2 5 1 19
Total textbook number 20 11 10 8 7 6 62

Table 2.

Analysis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the 7th-9th grade)

Category n (%) Subcategory n (%) Contents n (%)
Prevention of the accident and the first-aid 91 (41.0) Situational the first-aid method 83 (37.4) Respiratory obstruction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1 (5.0)
The first-aid of bleeding 9 (4.1)
Open wound 7 (3.2)
The first-aid of the injury of skeletal system and fracture 7 (3.2)
Burn/thermolesion 7 (3.2)
The first-aid of bruise and sprain 7 (3.2)
Eye damage 7 (3.2)
Bite from animal or insect 7 (3.2)
Convulsion 7 (3.2)
How to carry patient 7 (3.2)
How to use bandage 7 (3.2)
Understanding of the first-aid 8 (3.6) The meaning and principle of the first-aid 6 (2.7)
Prevention of the safety accident 1 (0.5)
Korean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1 (0.5)
Mental health 63 (28.4) Prevention of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e 30 (13.5) Management of teenager stress 13 (5.9)
Prevent suicide 8 (3.6)
Manage depression 6 (2.7)
Manage anxiety 3 (1.4)
Friendship of teenager/manner and ethic 19 (8.6) School life and conflict between friends 6 (2.7)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4 (1.8)
Bullies in school life 4 (1.8)
School life and conflict between friends (school violence) 3 (1.4)
Teenage friendship 1 (0.5)
Problem and coping method of violence 1 (0.5)
Managemen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14 (6.3) Teenager health and contempt of life problem 4 (1.8)
What can we do to make our mind healthy? 3 (1.4)
Our valuable body and mind 3 (1.4)
Value of life and health 2 (0.9)
Self identity formation 1 (0.5)
What should we do to form positive self identity? 1 (0.5)
Sex and health 32 (14.4) Healthy pregnancy and contraception 12 (5.4) Adolescent relationship with friends 5 (2.3)
Understanding of the sex in adolescent period 5 (2.3)
Desirable attitude toward sex 2 (0.9)
Sex of teenager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10 (4.5) Pregnancy and abortion of early teenagers 3 (1.4)
Responsible sex 2 (0.9)
Abortion 1 (0.5)
Pregnancy and health (drugs and drinking during pregnancy) 1 (0.5)
The influence of pregnant mother to the fetus 1 (0.5)
Respect for life 1 (0.5)
Problems and prevention during teenage relationship 1 (0.5)
Understanding of sexual violence and its prevention and coping 10 (4.5) Prevention and coping of sexual violence 5 (2.3)
Definition of sexual violence 3 (1.4)
Gender role and sexual violence 1 (0.5)
Teenage sex (sexual violence) 1 (0.5)
The prevention of drug abuse, smoking and drinking 29 (13.1) Drug abuse and health 12 (5.4) Prevention and coping of drug abuse 3 (1.4)
Drugs and preferences which harm health 3 (1.4)
Right use of drugs as well as preferences and health 3 (1.4)
Dangerousness of drug abuse 1 (0.5)
The reason and process of addictive drug abuse 1 (0.5)
Prevention of addiction and healthy self-development 1 (0.5)
Smoking and health 10 (4.5)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health 5 (2.3)
The damage of teenage smoking 4 (1.8)
Prevention of smoking and practice of no smoking 1 (0.5)
Drinking and health 7 (3.2)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and health 5 (2.3)
The damage of teenage drinking 2 (0.9)
Normal life and health 5 (2.3) Understanding of health 5 (2.3) What is the health? 2 (0.9)
Importance of health 1 (0.5)
The owner of my health is myself 1 (0.5)
Nutrition and health of the adolescence 1 (0.5)
Society and health 2 (0.9) The socially weak and health of the minority 2 (0.9) Health of the minority, and socially weak 1 (0.5)
Live together with the weak and the minority 1 (0.5)
Total 222 (100.0) 222 (100.0) 222 (100.0)

Table 3.

Analysis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in the Textbook of the High School (the 10th grade)

Category n (%) Subcategory n (%) Contents n (%)
Drug abuse, smoking, drinking, and health 29 (35.4) Drug abuse and health 14 (17.1) Influence of drug abuse in human body 5 (6.1)
Misuse and abuse of drug 4 (4.9)
Side effect of each drug and instruction to follow 3 (3.7)
Preventing drug addiction 2 (2.4)
Smoking and health 8 (9.8) Influence of smoking in human body 5 (6.1)
Damage of the second-hand smoking 2 (2.4)
Smoking and lung cancer rate 1 (1.2)
Drinking and health 7 (8.5) Influence of drinking in human body 4 (4.9)
Prevent drinking 2 (2.4)
The type and reason of digestive organ disease related with drinking 1 (1.2)
Sex and health 23 (28.1) Sexual violence and prevention of prostitution 9 (11.0) Sexual violence and coping method 8 (9.8)
Commercialization of sex and prostitution 1 (1.2)
Sexual problem and its measures 6 (7.3) Dangerousness of artificial abortion 3 (3.7)
Dignity of life 1 (1.2)
Venereal disease and problems caused by induced abortion 1 (1.2)
Variety of sexual problem 1 (1.2)
Healthy sexual opinion and understanding sexual culture 4 (4.9) Gender role and gender equality 2 (2.4)
Healthy sexual opinion of teenager 2 (2.4)
Parenthood and pregnancy, child birth 4 (4.9) Pregnancy and child birth 2 (2.4)
Love and responsibility 1 (1.2)
Precious family 1 (1.2)
Mental health 21 (25.6)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10 (12.2) Importance of mental health 3 (3.7)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handicap 3 (3.7)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1 (1.2)
Meaning of mental health 1 (1.2)
Healthy mental life 1 (1.2)
Local community practice of health management (stress) 1 (1.2)
Mental health problem of the teenager 7 (8.5) Suicide 3 (3.7)
Depression 2 (2.4)
Anxiety 1 (1.2)
Stress 1 (1.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3 (3.7) Self esteem 2 (2.4)
Improving self esteem 1 (1.2)
Prevention of violence 1 (1.2) School violence 1 (1.2)
Life science and contempt of human life 4 (4.9) Problem of life science and contempt of life 3 (3.7) Problem of life cloning- human cloning 1 (1.2)
Science and technology- cloning of human embryo 1 (1.2)
How will the development of biology effect human future? (controversy of human embryo cloning) 1 (1.2)
Contempt of life 1 (1.2) Death of dignity, is it about one's life or is it contempt of one's life? 1 (1.2)
Normal life and health 3 (3.7) Health and quality of life 3 (3.7) Concept of health 2 (2.4)
Health that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1 (1.2)
Society and health 2 (2.4) Healthy family, healthy local community 2 (2.4) How to improve community health 1 (1.2)
Healthy family which considerate each other 1 (1.2)
Total 82 (100.0) 82 (100.0) 82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