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성장발달 이해를 위한 경험학습모델 기반 영화간호교육 개발

Development of Cinenurducation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for Understanding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Article information

Child Health Nurs Res. 2014;20(2):96-10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4 April 30
doi : https://doi.org/10.4094/chnr.2014.20.2.96
1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2인제대학교 대학원간호학과·부산백병원
3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의학교육학교실
오진아1,, 임미해2, 노혜린3
1Department of Nursing, Institute of Health Science, Inje University, Busan, Korea
1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3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na Oh 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614-735, Korea TEL +82-51-890-6833 FAX +82-51-896-9840 E-MAIL ohjina@inje.ac.kr
Received 2014 January 20; Revised 2014 February 22; Accepted 2014 March 07.

Trans Abstract

Purpose

Nurse educators can use film effectively to promote nursing students’ motivation and indirect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design using films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for understanding of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and to evalu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inenurducation according to learning type and cont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seventy-four first year nursing students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3 at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Busan. In each class, participants watched film, participated in peer-to-group discussion and an educator's lecture, and wrote a composition based on Kolb's four learning stages. After class, participa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Results

Results showed a high satisfaction with cinenurducation regardless of learning type and content concerning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Advantages of cinenurducation included it being “fun and interesting,” “helpfu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develop critical thinking through discussions.” Disadvantages included “length of time needed,” and “burdensome.”

Conclusion

Film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provide indirect experience for nursing students. Selection of appropriate films and evaluation of learning goal achievements are importan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inenurducation.

Abstract

요약

목적

아동을돌보는 간호사에게 중요한 역량인 아동성장발달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영화를 활용한 영화간호교육 수업설계를 개발하고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수업설계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영화간호교육 전략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Kolb의 경험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영화간호교육의 수업설계를 개발하고 일 대학 간호학과 1학년 대상의 ‘인간성장발달’ 과목에 적용하여 대상자의 학습유형,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 응한 75명의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기술통계와 다변량분산분석, 케이스 백분율 등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아동성장발달이해를 위한 영화간호교육은 구체적 경험, 반성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그리고 능동적 실험의 4단계로 구성되며 영화감상, 강의, 토론과 작문 등의 수업방법을 포함하였다. 개발된 영화간호교육 적용 결과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습유형별, 차시별 학습내용에 대한 영화간호교육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업이 재미있고 흥미롭다고 답하거나 영화감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을 보고하였다.

결론

경험학습을 도모할 수 있는 영화간호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상업영화의 발굴, 다양한 모듈의 개발, 그리고 영화간호교육의 효과를 명확하게 검증하고 학습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서 론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의 구체적인 목적은 학습자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함으로써 새로운 간호 상황에 부딪혔을 때 바람직한 간호과정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Farrand, McMullan, Jowett, & Humphreys, 2006). 특히 아동간호교육에서는 아동의 발달기적 특성에 대한 분명한 이해에 바탕을 두어 개별화된 간호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즉, 아동의 성장발달단계에서 잘못이나 공백이 생기면 영구히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으므로 아동을 돌보는 간호사는 질병회복과 동시에 아동의 최적의 성장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Potts & Mandleco, 2011). 그러나 활자화된 교육매체나 전통적인 강의만으로 아동성장발달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문화적인 특성 등의 완전한 이해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간호교육자는 학습자가 충분한 이해와 직 ·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궁극적으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더욱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Oh, Shin과 De Gagné (2012)는 다양한 간호역량을 학습함에 있어 영상매체인 영화가 활용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으며, 실제로 간호교육자들이 인간 이해를 위한 교육전략으로 영화간호교육(cinenurducation)을 시도해왔다(Hyde & Fife, 2005; Northington, Wilkerson, Fisher, & Schenk, 2005; Oh, Kang, & De Gagné, 2012). Blasco, Moreto, Roncoletta, Levites와 Janaudis (2006)는 간호교육에서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에게 인문적인 관점을 이끌고 성찰적인 태도를 고무시키는가 하면 환자의 이해를 돕는다고 하였다. 또한 Oh와 Lim (2011)은 영화는 경험학습과 성찰학습을 유도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며, 학습자의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고와 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성장발달의 다양한 측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영화를 활용한 수업설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영화간호교육을 개발함에 있어 본 연구자들은 Kolb (1984)의 경험학습모델(experiential learning model)을 수업설계의 기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상황을 경험하고 정서적으로 공감하며 스스로 해결책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촉진된다는 것으로써,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이 필요한 간호교육에서 주지해야 할 학습모델이다. 학습자마다 정보를 조작하는 방법의 차이를 고려하고 경험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 모델을 구축한 Kolb는 학습은 구체적 경험(Concrete Experience, CE), 반성적 관찰(Reflective Observation, RO), 추상적 개념화(Abstract Conceptualization, AC), 그리고 능동적 실험(Active Experiment, AE)의 단계로 순환하며, 이러한 학습단계를 모두 거칠 때 학습이 완성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영화간호교육은 이러한 4가지 학습단계를 모두 순환하는 수업설계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Kolb (1984)는 최상의 학습을 위해 개인들이 집중적으로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방식을 학습유형이라고 정의하면서, 모든 학습자는 분산형(diverger, 확산형), 적응형(accomoda-tor), 수렴형(converger, 집중형), 융합형(assimilator) 중 어느 하나의 학습유형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학습유형은 학습자가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An, 2007; D’ Amore, James, & Mitchell, 2012), 영화간호교육은 다양한 학습유형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다수가 만족하는 수업설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Kolb (1984)의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영화간호교육을 개발하여 일 대학 간호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성장발달 이해를 위한 수업에서 적용하고,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따라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영화간호교육이 어떤 내용을 학습할 때 가장 효과적인지와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영화간호교육 전략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성장발달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Kolb (1984)의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영화간호교육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한 후 영화간호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영화간호교육 교수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아동성장발달의 이해를 위해 경험학습모델 기반 영화간호교육을 개발한다.

  • 2) 학습유형에 따른 대상 간호학생들의 영화간호교육 만족도를 파악한다.

  • 3) 개발된 학습내용에 따른 대상 간호학생들의 영화간호교육 만족도를 파악한다.

  • 4) 대상 간호학생들이 인지한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을 파악한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교육기관에서 통상적인 교육실무와 관련된 교수개발 사례연구이며 개발된 수업설계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

경상남도에 소재한 일 대학에서 2013년 1학기에 개설된 간호학과 전공선택과목 ‘인간성장발달’을 수강신청한 학생 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연구자는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내용과 의의에 대해 설명하고 설문 참여에 강제성이 없으며 학생의 성적을 포함하여 어떤 이익이나 불이익이 없음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설문의 결과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한다는 것과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설문 응답을 철회할 수 있으며, 응답자의 익명을 보장하고 내용에 대한 비밀을 지킨다고 밝힘으로써 연구의 참여여부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도구

학습유형

본연구에서는 CJ 기업홈페이지에 공개된 Kolb의 학습유형 자가진단 12문항으로 측정하였다(CJ Company, 2007). 측정된 점수는 정해진 문항별로 합산하여 구체적 경험, 반성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능동적 실험의 4가지 학습단계로 분류하였다. Kolb의 영어판 학습단계 검사지는 높은 타당도와 Cronbach's α=.88-89의 높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D’ Amore et al., 2012; Zohgi et al., 2010). 본 연구에서 검사지에 대한 전체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82이었으며, 각각 학습단계별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구체적 경험 .79, 반성적 관찰 .75, 추상적 개념화 .78, 그리고 능동적 실험은 .83이었다. 한편, 학습유형은 4가지 학습단계에서 구체적 경험과 추상적 개념화의 점수 차를 종축 좌표로, 능동적 실험에서 반성적 관찰의 점수 차를 계산하여 횡축 좌표로 표시하여 그래프의 사분위 위치에 따라 분산형, 적응형, 수렴형, 융합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영화간호교육 만족도

Levett-Jones (2005)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교과 수업과정 속에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유형과 만족도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 연구에서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5개 대학의 수업평가 설문지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들이 7항목으로 구성하여 5점 Likert 척도로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문항으로는 수업에의 참여, 흥미와 재미, 유익성, 동기부여, 내용의 이해, 수업내용의 적용에 있어서의 자신감, 타학생에게 추천 등이었으며, 2인의 간호학과 교수와 1인의 국외 간호교육학 교수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영화간호교육 만족도 도구 사용을 위하여 2012년 2학기에 동일과목을 수강한 학생 82명에게 개발된 도구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당시 신뢰도 계수 Chronbach's α=.86이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계수 Chronbach's α=.83으로 나타났다.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 도구는 연구자들의 2차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중심으로 영화간호교육의 장점 6문항, 단점 7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유롭게 장단점을 기술할 수 있는 1개의 개방형 문항을 포함하였다. 이 도구 역시 간호학과 교수 2인과 국외 간호교육학 교수 1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 도구사용을 위하여 2012년 2학기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 개방형 응답에서 연구자들이 제시한 13개의 항목 외에 특별한 문항이 발견되지 않아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 도구의 문항이 적절하게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화의 선정

영화간호교육에 활용되는 영화는 선정성 여부에 대한 논란이 없고, 영화 속에 내재된 문화, 정서, 그리고 사상 등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Oh, Shin 등(2012)의 기준을 만족하면서 아동이 주인공이고 아동의 각 발달단계의 특성이 발견된다고 판단된 상업영화 20편을 1차 선정하였다. 그리고 2012년 아동간호학회에서 제시한 학습목표의 소분류에 따른 각 주제를 포함한 영화를 선별하여 각 차시별로 1개씩의 대표영화를 최종 선정하였다. 간호학과 교수 2인과 국외 간호교육학 교수 1인이 함께 선정된 영화를 감상하고 분석하여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화는 모두 국내 개봉작으로 ‘마이키 이야기 1 (Look Whos Talking)’, ‘마이키 이야기 2 (Look Whos Talking Too)’, ‘뽀네뜨(Ponette)’, ‘천국의 아이들 1 (Bacheha-ye aseman)’, 그리고 ‘죽은 시인의 사회(Dead Poets Society)’이었다(Table 1).

Used Film and Learning Theme for Understanding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자료수집방법

본연구는 아동의 성장발달 이해를 위한 영화간호교육의 개발과 적용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총 7차시로 개발된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 조사를 위한 자료수집은 마지막 차시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설문 응답에 동의한 학생에게만 설문지가 배부되었으며, 배부된 설문지는 총 85부였으나 응답을 거부하거나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11부를 제외한 74부(87.1%)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분석방법

학습유형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한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학습내용과 학습유형별 영화간호교육 만족도의 평균비교는 다변량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에 대한 질문은 복수응답을 허용하였기 때문에 전체 응답자수에 대한 해당 케이스별 응답수의 백분율 지표인 케이스백분율(case percentage)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경험학습모델 기반 영화간호교육 개발

본 수업설계의 대상과목인 ‘인간성장발달’의 학습성과(course outcome)는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이해와 교양지식을 습득한다.’이며, 매 차시의 수업성과(lesson outcome)는 각 발달기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 · 문화적, 성적, 도덕 · 영적 특성 등을 인간행동이나 상황의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이다.

수업은 주 1회로 이루어지며 매 차시는 쉬는 시간을 제외하고 100분으로 구성하였다. 제1차시는 먼저 20분간 영화간호교육에 개념과 본 연구의 의의와 목적을 설명하였고, 이후 80분간 일반적인 성장발달의 원리에 대하여 전통적인 강의방법으로 설명하였다. 이후 5주간 5차시는 영아기, 유아기, 학령전기, 학령기, 그리고 청소년기의 다섯 발달기로 구분하였고, 각 발달기마다 Kolb (1984)의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동일하게 4가지 단계로 설계된 수업 방법대로 진행하였다. 아동성장발달에 대한 전체적인 정리와 마무리는 제7차시에 이루어졌으며 본 영화간호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장단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포함하였다(Figure 1).

Figure 1.

Process and contents of cinenur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CE= Concrete Experience; RO= Reflective Observation; AC= Abstract Conceptualization; AE= Active Experiment.

구체적 경험 단계(CE)

각 차시마다 수업 전에 교내 멀티미디어 세미나실에서 집단으로 영화를 감상하도록 하였다. 영화상영시간은 81분에서 128분으로 다양하며 평균 98분이 소요되었다. 영화감상과 관람 후 영화에 대한 명상은 수업준비 및 개인시간으로 판단하여 시간계산에 포함하지 않았다.

반성적 관찰 단계(RO)

이 단계는 강의실에서 이루어졌으며 10분간의 영화에 대한 정보제공 후 peer-to group 방식의 토론이 이루어졌다. Peer-to-group 토론은 교육자의 질문에 따라 학생이 각자 1분간 생각을 하고 옆 사람과 4분 이내로 토론을 반복하는 방법이다(Lom, 2012). 교육자는 영화에서 학습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는지를 질문하였고 토론 후에는 의견을 발표하도록 하여 성찰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교육자는 학습자가 발견한 아동성장발달의 특성과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는 동안 좀 더 설득력 있는 생각들을 고를 수 있도록 도왔다. 각 차시마다 토론과 발표에 소요된 시간은 40분이었다.

추상적 개념화 단계(AC)

학생들의 개념화를 돕기 위하여 강의실이라는 비개인적인 환경에서 각 차시마다 30분간의 강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교육자는 촉진자가 되어 ‘왜’, ‘어떻게’ 라는 질문을 곁들이면서 학습자들이 무엇을 간과했는지 깨닫게 하고 교과서와 유인물을 활용하여 내용을 확인하고 검토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며, 이에 소요된 시간은 20분이었다.

능동적 실험 단계(AE)

문제 상황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프로젝트나 숙제 등에 참여할 때 가장 잘 학습한다는 근거에 따라(Kim, K., 2010; Oh, 2005), 매 수업 후 학습한 내용, 즉 ‘영화에서 발견한 아동발달기별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문화적, 성적인 발달특성’을 작문으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향후 소아과 병동에서 환아를 만나게 될 때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겠는가?’, ‘향후 소아과 병동에서 환아를 만났을 때 어떠한 자세로 접근하겠는가?’ 등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작문(composition)으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경험학습모델 기반 영화간호교육 적용

학습유형별 영화간호교육 만족도

대상자는 여학생 89.2%, 남학생 10.8%이었고, 고등학교 전공계열의 분포는 인문계열 47.3%, 자연계열 52.7%이었으며, 대상자의 학습유형은 융합형(29.2%), 적응형(27.8%), 분산형(23.6%), 그리고 수렴형(19.4%)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영화간호교육 만족도는 28.15±3.33 (평균평점 4.02)이며 학습유형별 영화간호교육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0.17, p =.913) (Table 2).

Difference on Satisfaction of Cinenurduca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N=74)

발달단계별 학습내용에 따른 영화간호교육 만족도

영아기, 유아기, 학령전기, 학령기, 청소년기의 학습내용에 따른 영화간호교육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1.24, p =.302) (Table 3).

Difference on Satisfaction of Cinenurducation According to Learning Contents (N=74)

영화간호교육의 장단점

영화간호교육의 장점으로 91.9%의 응답자가 ‘수업이 재미있고 흥미롭다’고 답하였으며, ‘영화 속에서 아동의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다(83.8%)’, ‘영화 감상 후 토론학습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37.8%)’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영화간호교육의 단점으로는 ‘영화감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71.6%)’, ‘영화감상 후 작문과제가 부담스럽다(68.9%)’, ‘영화감상을 위해 준비해야할 장치가 많고 번거롭다(4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Merits and Demerits of Cinenurducation* (N=74)

논 의

간호교육에서 영화는 간호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지는데, 이는 영화 속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상황을 관찰함으로써 간호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하는 내용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Oh et al., 2012). 즉, 영화에서 발견되는 풍부한 사례를 통해 학습자는 상황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기존의 관점이 전환되어 결과적으로 능동적이고 유연한 문제해결자가 되는 것이다(Kim, 2007). 본 연구에서는 아동성장발달의 이해를 위해 Kolb (1984)의 경험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영화간호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학생들의 학습유형을 함께 파악하여 그에 따른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Kolb와 Kolb (2005)에 의하면 학습자는 반복되는 성찰과 개념화 과정을 거쳐서 더 발전된 통찰력을 얻게 될 때까지 4단계 학습사이클을 반복 실행한다. 학습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세상을 경험하고 평가함으로써 지식 및 정서적 기반을 발전시키는 것이다(Lee, 2011).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4가지 학습단계를 모두 경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이 완성되는 것을 도모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화간호교육의 학습단계별 구체적인 전략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체적 경험(CE)의 단계에서는 새 경험에 대한 편견을 가지지 않고 전체를 개방적으로 대하는 능력이 필요하므로(Lee, 2011), 부담 없이 감상할 수 있는 상업영화를 제공하였다. 특히 학습자는 실제적인 상황이 포함될 때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을 수행하기 때문에(Kim, K., 2010; Oh, 2005), 영화를 통해 기존의 매체나 학습방법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풍부한 사실적인 자료들을 접함으로써 간접경험의 사실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Oh et al., 2012). 영유아기 학습에서 사용한 영화 마이키 이야기 1, 2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생명 탄생의 순간부터 이유식, 걸음마, 대소변 가리기 등 영유아의 신체적 발달 특성 뿐 아니라 유명 배우(Bruce Willis)의 목소리를 통해 영유아의 미세한 감정 등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 영화는 다소 과장된 부분이 없지 않으나 주변에서 영유아를 직접 만날 경험이 부족했던 학생들에게 영유아의 느낌과 정서에 대한 이해, 부모에 대한 감정이입 등을 가능하게 해주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유사한 능력을 소유한 동료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할 때 가장 큰 혜택을 본다는 Kolb (1984)의 견해에 따라 영화를 단체관람 하도록 하였으나 강의실 수업에 앞서 영화감상 시간이 평균 100분 정도로 소요되는 것은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두 번째 반성적 관찰(RO)의 단계에서 학습자는 성찰과 반성을 통해 경험의 과정을 재검토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함으로써 깨달음 즉, 학습을 얻게 된다(Lee, 2011). 토론은 학습자들에게 자율성과 선택권을 부여하기 때문에 반성적 관찰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Kim, K., 2010; Oh, 2005), 동료들과의 토론과 평가는 수업을 향상시키므로 토론의 활성화는 매우 중요하다(Lom, 2012). 본 연구에서는 peer-to group 토론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대규모 강의실에서도 학습자가 한 명도 빠짐없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었다.

세 번째 단계는 추상적 개념화(AC) 단계인데 학습자는 자신이 경험하고 관찰한 것을 논리정연하게 통합시키며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이론과 지식으로 발전시키는데, 이는 비개인적인 환경에서 가장 잘 학습하는 경향이 있다(Kim, K., 2010; Oh, 2005).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매 차시마다 40분간의 토론이 끝나면 교육자가 아동발달단계의 특성을 요약적으로 강의함으로써 개념화를 도모하고, 관련 개념을 스스로 정리하고 종합하는 학습자들의 능력을 지지하였다(Lee, 2011). 추후 연구에서는 이 단계를 보완하여 영화감상 전에 학습자들의 사전 지식을 끌어내고, 영화감상, 토론, 강의실 강의로 이루어지는 수업 후에 학습내용에 대한 평가를 병행하여 학습자가 어떤 개념을 확립하였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 단계는 계획에 따른 능동적 실험(AE)에 의해 자신의 가정이 옳았는지, 옳지 않다면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얻는 단계이다(Lee, 2011).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실습교육은 약 2년 후에 이루어지므로 새로운 문제 상황에 노출되어 직접 실험 또는 실습을 통해 학습의 효과를 평가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 상황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프로젝트나 숙제 등에 참여할 때 가장 잘 학습한다는 근거에 따라(Kim, K., 2010; Oh, 2005), 생활 주변에서 아동을 만나고 아동의 성장발달의 특성을 경험한 사례를 기록하게 하였고, 현실 속의 아동이 영화 속의 아동이나 평소 자신의 개념과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하여 결론을 내리게 하였으며, 앞으로 임상에서 아동 환자를 만난다면 각 연령대별로 특성을 알고 치료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계획 등을 기술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적절한 대안이라고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화간호교육은 Kolb (1984)의 4가지 학습단계를 모두 진행하도록 개발된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효과적인 학습자의 경우 학습단계를 모두 진행하는 경향이 있지만(Kolb & Kolb, 2005), 대개의 학습자들은 특정 영역이 지배적이므로 다양한 학습유형이 나타날 수 있다(D’ Amore et al., 2012).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주된 학습유형은 융합형이었는데, 이는 Kim, J. (2010)와 Ha (2011)의 연구와 같은 결과이며, 간호대학 1학년생들에게 융합형과 분산형이 많다는 D’ Amore 등(2012)의 보고와도 유사하였다. 융합형 외에 나머지 학습유형은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이는 본 대상자들의 고교 학업배경이 인문계열, 자연계열의 고른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특정한 성향으로 치우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Kolb와 Kolb (2005)는 학습단계와 마찬가지로 학습유형도 변증법적이고 순환적이어서 새로운 정보를 얻거나 처리하는 과정에서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적응형-분산형-융합형-수렴형의 순서로 이동한다고 하였으므로 학년이 올라가고 경험이 누적될수록 대상자의 학습유형의 순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지능은 높을수록 긍정적이고 능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지만 학습유형은 어느 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반드시 더 좋은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어떤 점에서는 능력과도 무관한 개념이다. 그래서 개인의 학습유형과 선호하는 학습방법 간에 상관성이 없다고 보고한 연구가 있지만(An, 2007), 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을 달리 모색함으로써 과제수행 능력이 향상된다고 보고한 연구도 있다(Kim, J., 2010). 그리고 Cavanagh, Hogan과 Ramgopal (1995)은 학생들의 학습유형은 다양하므로 모든 다양한 학습유형이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학습유형에 따른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는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영화간호교육이 어느 특정 학습유형에게 유리한 교수법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Kolb와 Kolb (2005)도 일반적으로 학습유형별 특성은 인정되지만, 인간의 삶은 다양한 문제의 지속적인 발생과정이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교수설계가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즉, 각 학생들이 어떤 학습유형을 가지고 어떤 학습단계에 놓여있던지 간에 그들의 학습단계를 지지하면서 다음 단계를 이끌어주는 학습방법이 유익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경험학습모델 기반 영화간호교육은 다양한 학습유형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유익한 교수학습설계라고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결과 평점 4.02라는 비교적 높은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아동의 각 발달기의 학습내용에서도 영화간호교육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 없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대상자들은 무엇보다 영화가 유머와 웃음을 제공한다는 것을 영화간호교육의 가장 큰 장점으로 보았고, 영화 속에서 아동의 특성을 잘 관찰할 수 있었으며, 모두가 참여한 토론학습이 장점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영화감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매 시간 주어진 작문 과제가 부담스럽고, 영화감상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 번거롭다 등의 순으로 단점을 보고하였다. 특히 단점의 우선순위는 Masters (2005)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인데 이러한 단점들은 영화간호교육 교수설계에서 극복해야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이에 영화감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영화 클립을 사용하는 온라인 학습방법이나 작문 보고서가 아닌 간단한 체크리스트의 개발 등을 제언하는 바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화는 모두 국외에서 제작된 영화였고 제작연도도 1989년에서 1997년이었으므로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나라 아동의 성장발달의 특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영화의 선택이 필요하였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를 위해서 교육매체로서 적절한 영화 선정에 대한 간호교육자들 간의 담론이 형성되어야 하겠고, 영화간호교육의 모듈 개발에도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표본 집단이 일개 대학으로 한정되어 있어 그 사례수가 적고,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결과변수에 학생의 성적을 포함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영화간호교육의 만족도에 대해서 파악했을 뿐 실질적인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지 못했기 때문에 추후 연구로 학습자들의 학업수행정도를 함께 검증하는 것이 영화간호교육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향후 영화간호교육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과 함께 다양한 교육방법연구와의 비교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결 론

학습효과를 최적의 상태로 올릴 수 있는 변인은 학습자에게 달려 있지만, 학습자의 특성이 고려된 교수설계를 하는 것은 교육자의 몫이다. 아동을 돌보는 간호사에게 꼭 필요한 역량인 아동성장발달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영화간호교육 교수설계를 개발하여 적용한 본 연구는 경험학습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Kolb가 제시한 모든 학습단계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높은 학습만족도를 이끌었다. 학생들마다 다양한 학습유형을 가지고 있고 영화감상에 대한 선호가 다를 수 있으나 영화간호교육은 학생들의 간접경험을 증대시키고 성찰을 도모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다. 특히 경험과 성찰이 중요한 간호교육에서 영화를 사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적절한 상업영화의 발굴과 함께 영화간호교육 모듈 개발과 같은 구체적인 영화간호교육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영화간호교육의 효과를 명확하게 검증하고 학습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2013S1A5A2A 01019026).

References

An G. J.. 2007;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1):13–22.
Blasco P. G., Moreto G., Roncoletta A. F., Levites M. R., Janaudis M. A.. 2006;Using movie clips to foster learner's reflection: Improving education in the affective domain. Family Medicine 38:94–96.
Cavanagh S. J., Hogan K., Ramgopal T.. 1995;The assessment of student nurse learning styles using the Kolb Learning Styles Inventory. Nurse Education Today 15:177–183.
Company CJ. 2007. CJ Learning Style Self-Checklist . Retrieved December 4, 2012, from. http://injae.cj.net/employment/CJ004_3/CJ004_3_3/CJ004_3_3_1.html.
D’ Amore A., James S., Mitchell E. K. L.. 2012;Learning styles of first-year undergraduate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A cross-sectional survey utilizing the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Nurse Education Today 32:506–515. http://dx.doi.org/10.1016/j.nedt.2011.08.001.
Farrand P., McMullan M., Jowett R., Humphreys A.. 2006;Imple-menting competency recommendations into pre-registration nursing curricula: Effects upon levels of confidence in clinical skills. Nurse Education Today 26(2):97–103. http://dx.doi.org/10.1016/j.nedt.2005.06. 002.
Ha J. Y.. 2011;Learning styles,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355–366.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3.355.
Hyde N. B., Fife E.. 2005;Innovative instructional strategy using cine-ma film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Association of Black Nursing Faulty Journal 16(5):95–97.
Kim J.. 2007;A study on the cases and approach of film in class. Education Research Studies 38:115–132.
Kim J.. 2010;Personality type, learning style, self-dire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7(2):1–25.
Kim K.. 2010;Development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working in nursing homes on human rights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4):463–472.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463.
Kolb A. Y., Kolb D. A.. 2005. The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 version 3.1 2005 Technical Specifications Boston: Hay Resources Direct.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Lee D. Y.. 2011;Affecting factors of preference for web-bas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sty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7(1):63–89.
Levett-Jones T.. 2005;Self-directed learn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5(5)
Oh J., Shin H., De Gagné J. C.. 2012;QSEN competencies in pre-li-censure nursing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to cinenur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474–485.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74.
Potts N. L., Mandleco B. L.. 2011.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3rd ed.th ed. NY: Delma Cengage Learning. p. 363–368. http://dx.doi.org/10.1016/j.nedt.2005.03.003.
Lom B.. 2012;Classroom activities: Simple strategies to incorporate student-centered activities within undergraduate science lecture. Journal of Undergraduate Neuroscience Education 11(1):64–71.
Masters J. C.. 2005;Hollywood in the classroom: Using feature films to teach. Nurse Educator 30(3):113–116.
Northington L., Wilkerson R., Fisher W., Schenk L.. 2005;Enhanc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using aesthetic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1(1):66–71.
Oh I.. 2005;Human rights education process incorporating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web-based instruction.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7(1):75–93.
Oh J., Lim M.. 2011;Analysis of research papers using movie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395–406.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3.395.
Oh J., Kang J., De Gagné J. C.. 2012;Learning concepts of cinenurducatio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2:914–919. http://dx.doi.org/10.1016/j.nedt.2012.03.021.
Oh J., Shin H., De Gagné J. C.. 2012;QSEN competencies in pre-li-censure nursing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to cinenur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474–485.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74.
Potts N. L., Mandleco B. L.. 2011.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3rd ed.th ed. NY: Delma Cengage Learning.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Used Film and Learning Theme for Understanding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Stage Title Product year Learning theme* Country (language) Director Production company Genre Running time
Infant Look who's talking 1989 · Fetal development & birth USA Amy Heckerling TriStar pictures Comedy, 93 minutes
· Motor development (English) Romance
· Weaning food
· Displeased with strangers
· Separation anxiety
Toddler Look who's talking too 1990 · Motor development (first step) USA Amy Heckerling TriStar pictures Comedy, 81 minutes
· Cognitive development (animism) (English) Romance
· Toilet training
· Sibling rivalry
· Sex education for toddler
Preschooler Ponette 1996 · Motor development France Jacques Doillon Les films alain sarde Drama 97 minutes
· Thumb sucking (French)
· Language
· Ritualism
· Sleep disorder
Schooler Bacheha-ye aseman (Children of Heaven) 1997 · Childhood peer relationship Iran Majid Majidi The institutes for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children & young adults Drama 89 minutes
· Children's school life (Persian)
· Industry
· Family affection
Adolescence Dead poets society 1989 · Secondary sex character USA Peter Weir Touchstone pictures Drama 128 minutes
· Self identity establishment (English)
· Adolescent and social life (school, friend, parent, etc.)
*

Learning theme was deducted from learning objectives developed by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in South Korea.

Figure 1.

Process and contents of cinenur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CE= Concrete Experience; RO= Reflective Observation; AC= Abstract Conceptualization; AE= Active Experiment.

Table 2.

Difference on Satisfaction of Cinenurduca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 (N=74)

Learning Style n (%) Preference M±SD F p
Assimilator 21 (29.2) 28.14±4.09
Accomodator 20 (27.8) 27.75±4.05
Diverger 17 (23.6) 28.59±2.55 0.17 .913
Converger 14 (19.4) 28.14±2.63

Table 3.

Difference on Satisfaction of Cinenurducation According to Learning Contents (N=74)

Learning contents Satisfaction M±SD F p
Infant stage 28.78±3.06
Toddler stage 28.36±3.73
Preschooler stage 26.00±2.74 1.24 .302
Schooler stage 29.12±3.09
Adolescence stage 27.94±3.89

Table 4.

Merits and Demerits of Cinenurducation* (N=74)

Contents Frequency Case percentage (%)
Merits Films are fun and interesting. 68 91.9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can be observed in films. 62 83.8
Discussions after watching the films provoke critical thinking. 28 37.8
Films offer a safe learning environment. 24 32.4
Films offer strong solidarity with peers. 22 29.7
Total 204 275.6
Demerits It takes too long time to watch the film. 53 71.6
Composition of personal essay is burdensome. 51 68.9
Installation of equipment is annoying. 30 40.5
It's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of the unrealistic situations presented. 22 29.7
It's difficult to identify the themes because of the complicate messages given. 18 24.3
The effects of class depends on the educator's ability. 10 13.5
It's not effective because we have already seen the highlights of the films before. 8 10.8
Total 192 259.5
*

Multiple ch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