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수면건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an Infants’ Sleep Health Program Using a Video for SIDS Prevention Education and Measurement of the Program's Effect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infant sleep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a video for SIDS prevention education an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s
The infant sleep health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presentations and motor images.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material was directed by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9 primiparous women from postpartum care center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riterion referenced test items for knowledge about infant sleep health and confidence inventory. Experimental group I was given the treatment of infant sleep health education program. Experimental group II was given the program using a video reinforcement after 2 weeks.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was given no treatmen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knowledge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mother's roles of both experimental group I and experimental group II over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s for knowledge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mother's rol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I and II.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program is a very effective intervention for better sleep health in infants by helping the mothers increase confidence in their role performance.
Abstract
요약
목적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욕구이며,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별히 영아기는 수면주기가 불안정하고 영아급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아 초산모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초산모를 위한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Dick, Carey 와 Carey (2009)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문헌고찰과 자문위원들의 자문과정을 거쳐 개발되었으며, 소책자, 동영상 및 PPT 슬라이드로 구성되었다.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출산 2주 이내의 초산모들을 대상으로 편의 모집한 총 78명 중 최종적으로 분석한 연구대상자는 59명이었다. 실험군 Ⅰ, Ⅱ에게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 Ⅱ에게는 교육 2주 후 동영상 강화교육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Ⅰ, Ⅱ와 대조군 모두 교육 전과 교육 4주 후에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Ⅰ, Ⅱ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및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2주 후에 동영상 강화교육을 받은 실험군 Ⅱ는 실험군 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초산모의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역할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고, 동영상 강화교육은 현장 강의를 대신할 수는 없으나 초산모를 위한 교육에 보조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수면이란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이며, 일상생활로 인한 피로를 푸는데 가장 좋은 수단이다. 영아기의 수면은 건강은 물론 성장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면은 단백질 합성, 조직 재생, 긴장완화에도 필요하며 신체 회복과정이 일어나도록 하며, 기억과 학습저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뇌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Leach, 2000). 영아는 생후 3주경부터 성인과 유사한 circardian 주기가 시작되며, 4개월이 되면 밤에 대부분 잠을 자고 낮에 오래 깨어 있게 된다. 영아가 5-6개월 정도가 되면 성인의 수면형태와 비슷해진다. 영아의 2단계의 수면주기, 1단계의 이행주기, 3단계의 각성주기를 가지며 각 주기의 특성에 따라 영아와 상호작용 및 돌봄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Barnard, 1999). 수면주기가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영아들은 배고픔과 밤낮의 구별이 없음으로 인해 다양한 수면 장애 현상들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중 밤에 깨어 우는 것은 흔한 수면장애로써 어느 영아에게서나 발생할 수 있는 일시적인 증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행동장애나 정서장애 및 지능장애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Leach, 2000). 초기 영아기에 수면 및 활동 리듬의 문제를 경험한 아동은 아동 후기에 수면과 관련된 문제가 생기기 쉬울 뿐 아니라 회복 또한 어렵다고 보고하고 있다(Salzarulo & Chevalier, 1983).
영아돌연사증후군(Sudden Infant Dealth Syndrome, SIDS)은 영아 돌연사(Sudden Unexpected Infant Dealth, SUID)의 한 형태로 부검소견, 사망환경조사, 의무기록 검토 등의 조사를 통해서도 사인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Americ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수면 패턴이 안정화되어 가는 과정인 생후 2-4개월에 SIDS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1-6개월 사이에 SIDS의 91%가 발생하고 있어 양육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SIDS로 인한 사망자수는 2001년에 87명, 2006년에 77명, 2009년 85명, 2010년 93명, 2011년 92명(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으로 오히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SIDS의 발생요인은 3개월 이하의 영아에서는 성인 침대에서 재우기, 영아의 잠자리에 사람이나 물건, 애완동물이 함께 하는 것이 주 위험요인이며 3개월 이후의 영아는 수면자세 즉, 엎드려 자는 자세가 주 위험요인(Colvin, Collie-Akers, Schunn, & Moon, 2014)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아가 조산이나 저체중이고 간접흡연에 노출될 때도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Willinger, James, & Catz, 1991). 미국, 일본 및 호주와 같은 선진국에서는 이미 아기를 똑바로 누여 재우기 운동을 통해 SIDS의 발생을 절반 정도로 줄인 바 있다(Blair & Fleming, 2002). 따라서 우리나라도 SIDS를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초산모는 아기의 양육에 대한 궁금증과 혼동을 경험하며, 영아 돌보기 간호교육 요구도가 경산모에 비해 더 높고(Jeon, 1997), 양육에 대한 자신감과 지식이 부족할 경우 불안과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Mercer, 1981). 그러므로 SIDS의 발생률이 가장 높은 초기 영아기에 산모가 영아를 돌보는 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자신감을 높여 어머니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도움을 줄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산모를 대상으로 영아의 수면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한 선행 연구들을 보면 중재 후 영아의 수면 시간 또는 양상을 알아보거나(Han, Kwon, Bang, & Choi, 2010; Stremler et al., 2013; Symon, Marley, Martin, & Norman, 2005),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 만족도를 알아본 Park (2005)의 연구가 있는 정도이다. 게다가 국내에서 SIDS 예방과 관련하여 정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뤄지는 교육 프로그램은 서울시 어린이집의 교사를 위한 교육으로만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출산 후 집으로 퇴원하기 전 어머니의 역할 적응 및 영아의 안녕을 도모하기 위하여 영아의 수면 특성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아기 돌보기 등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Tribotti, Lyons, Blackburn, Stein, & Withers, 1988). 특히 동영상 자료는 동기유발로써의 기능이 가장 뛰어나고 대상자의 흥미와 재미를 극대화 하는 특성을 지닌 영상매체(Hwang et al., 2004)로써 대상자에게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수준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좋은 학습 매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동영상이 포함된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산모를 대상으로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수준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교육과 사후 측정 사이에 동영상 강화 교육을 추가, 수행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가설
1) 영아 수면건강과 SIDS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Ⅰ, Ⅱ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아질 것이다.
2)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Ⅰ, Ⅱ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이 높아질 것이다.
3) PC (personal computer) 기반 동영상 교육을 강화한 실험군 Ⅱ는 강화하지 않은 실험군 Ⅰ 에 비해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수준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이 높아질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초산모에게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 및 표집
본 연구의 실험군 Ⅰ, Ⅱ와 대조군은 2011년 2월 22일부터 4월 4일까지 교차 오염 방지와 대상자 동질성 유지를 위하여 소득수준이 유사한 광역시 2곳을 선정한 후 4주 이하의 영아를 둔 초산모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재태주령 37 이상의 단태분만 초산모로 영아의 출생 시 체중이 2,500 g이며 영아에게 이상 소견이 없고 본 연구에 동의한 자이다. 연구자들은 연구대상 산후조리원의 책임자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으며, 실험 효과의 오염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실험군 Ⅰ, Ⅱ와 대조군의 산후조리원을 지리적으로 분리하여 할당하였다. 실험대상자의 수는 G*power 3.1.2 프로그램(Faul, Erdfelder, Lang, & Buchner, 2007)을 사용하여 한 집단의 표본 수 21명(α=.05, d=.80, 1-β=.80)에 근거하여 각 그룹당 25명을 편의 표집 했으나 산욕 초기 산모라는 특성상 산후조리와 양육으로 인하여 사후조사 진행이 어려워 실험군Ⅰ은 총 26명 중 17명(65%), 실험군Ⅱ는 총 25명 중 15명(60%), 대조군은 총 37명 중 27명(73%)의 자료가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연구 진행 절차
교육프로그램 개발 단계
기초조사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최근까지의 영아의 수면 ∙ 활동 양상, 영아 수면 주기와 양육행위, 영아의 신호, 영아 돌연사와 SIDS 예방, 영아의 수면 자세, 영아의 수면 장애, 영아의 건강과 관련된 문헌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초산모를 위한 영아의 수면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연구가 부족하고 SIDS에 대한 관련 연구 또한 국내에는 인식 조사와 실태 조사만 이루어져 있으며,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어린이집 교사를 위한 내용이었고, 교육용 동영상이 개발되어 있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교수 설계 및 매체 제작
최근 출간된 영아 수면 ∙ 활동, 영아의 신호, SIDS, 수면 장애, 산욕기 교육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학습목표를 선정한 후 텍스트(text)와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텍스트와 시나리오의 내용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아청소년과 의사 1인, 간호학 교수 2인, 방송프로그램 제작 전문가 2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였다. 1차적으로 결정된 내용에 Dick, Carey와 Carey (2008)의 체제적 교수 설계 모형을 기초로 학습목표, 하위기능, 준거 지향 검사문항의 측정도구, 교수 전략을 2차적으로 개발하였고 내용과 매체의 타당도는 아동간호학 전공교수 1인과 현직 방송국 촬영전문가 1인과 프로그램 편집 전문가 1인의 자문을 거쳐 수정 ∙ 보완하였다.
형성 평가의 설계 및 실시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결정하고 효과적이지 않은 부분을 수정하기 위하여(Dick et al., 2008) 1차적으로 임신후기 임산부 1명, 산욕 초기 산모 2명을 대상으로 선수 지식에 대한 형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연구진과 아동간호학교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및 아동학과 교수 각 1인이 논의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임산부는 영아의 수면, 영아의 신호 등에 대하여 생소해 하고 출산 후에 교육을 실시해야 영아에 대하여 더 잘 이해하고 양육 행위를 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산욕 초기 산모는 교육 내용의 이해가 좋을 뿐만 아니라 교육 호응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적으로 아동간호학 전공교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인, 아동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이 참여하여 평가한 결과, 영아수면교육에 대한 동기화 정도가 임산부보다 산욕 초기 산모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중재 대상을 산욕 초기 산모로 하기로 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수정
형성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 내용의 일부가 초기산욕기 산모에 맞게 수정, 보완되었다. SIDS의 예방이 중요하게 나타나 올바른 수면 자세와 올바르지 않은 수면 자세를 보여주는 사진과 영상을 넣고, 조절 가능한 요인, 불가능한 요인, 예방법 등을 추가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단계
사전 조사
실험군 Ⅰ, Ⅱ, 대조군 모두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와 설문지 배부를 도와준 연구 보조자 모두 대상자가 실험군 또는 대조군에 속해 있는지 알지 못하고 설문에 임했다. 실험군은 산후조리원 시청각실에 모여 교육 직전에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설문지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10-15분 정도였다. 대조군은 산후조리원의 산후 체조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시간에 맞춰 설문지를 배부하고 그 자리에서 회수하였다.
실험 처치
사전 설문지 회수 후 실험군 Ⅰ, Ⅱ에게 계획된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약 1시간 동안 적용하였다. 실험군 Ⅱ에게는 교육 2주 후 영아 수면주기와 SIDS 예방 교육 내용의 동영상 파일과 고화질 동영상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이메일로 보내어 PC 기반 동영상 강화를 실시하였다. 2주 후 실험군 Ⅱ에게 전화를 걸어 육아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상담을 하고 동영상 관람 유무를 확인하였다. 대상자가 산후 조리 중임을 감안하고 실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동영상 관람은 1회로 한정하였다.
사후 조사
사후조사는 산욕 초기 산모의 특성상 산후 조리와 양육 때문에 대상자들이 가정방문을 부담스럽게 여기므로 사후 설문조사는 이메일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와 연구보조자 역시 대상자가 실험군 또는 대조군에 속해있는지 알지 못하게 하고 연구보조자의 이메일로 회수하였다. Nelson의 파지 연구(Lee, 2000)에 근거하여 실험군 Ⅱ에게 실험 처치 2주 후 동영상 강화를 추가한 점을 감안하여 사후 조사는 첫 실험 처치 4주 후, 실험군 Ⅰ, Ⅱ에게 이메일로 설문지를 보내어 회수하였다. 대조군도 사전 조사 실시 4주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
실험 도구: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동영상 예방 교육 프로그램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은 초산모의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의 향상을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본 연구진이 개발하였다. 실험 도구로 사용 된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Table1과같다.
1) 소책자: A4 용지 기준 47쪽 분량으로 수면과 건강, 수면-활동 주기 및 주기별 양육행위, 영아의 다양한 신호, SIDS, 수면 장애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2) 동영상: 수면-활동 주기 및 주기별 양육행위, 영아의 신호, SIDS 예방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running time은 총 21분으로 제작되었다. 동영상의 형식은 각 단계별 영아의 특징과 돌봄에 대한 영상과 자막, 내레이션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별 요약 및 에필로그로 구성되었다.
3) powerpoint (PPT) 슬라이드: 교재의 text 내용과 주요 still image 를 기반으로 총 48매를 제작하였다.
측정도구
영아수면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측정 도구는 Dick 등(2008)의 교수 설계를 기초로 각 주제 영역별 구체적 성취 목표 진술에 준거한 총 33문항의 준거지향 검사문항(criterion-referenced testing items)으로 ‘영아 수면의 생리(5문항)’, ‘수면/활동 상태(6문항)’, ‘영아의 수면 주기와 양육행위(11문항)’, ‘영아의 신호(6문항)’, ‘ SIDS (5문항)’으로 구성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6단계의 수면-활동주기에 대한 지식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동영상에서 대표적인 장면을 캡처하여 어떤 단계인지 예시에서 골라 정답을 작성하도록 고안하였고 실제 수면 장면과 유사하게 고화질의 컬러프린터로 인쇄하여 제작하였다. 1차적으로 개발된 문항들은 교수설계 전문가이자 영 · 유아 수면에 대한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2인과 소아청소년과전문의 1인 및 아동간호 전공 대학원생 2인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대상자가 정답을 맞추면 1점, 맞추지 못하면 0점으로 처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영아의 수면 건강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766이었다.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 측정도구
어머니 역할 수행자신감 척도는 Lederman, Weigarten과 Lederman (1981)의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한 Lee (1992)의 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한 15문항이다. 본 도구는 5점 평정 척도로서 ‘매우 자신 없다’를 1점, ‘매우 자신 있다’를 5점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산욕초기 초산모를 대상으로 한 Lee (1992)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30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28이었다.
윤리적 배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 범위, 방법, 목표와 내용선정에 대한 연구 계획서를 연구자 소속 교내 연구 윤리 심의 위원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았다(***IRB 2010-006). 또한 대조군을 위해 사후 자료 수집 후, 교육 자료집과 동영상 파일을 각 가정에 우편으로 보내어 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program 17.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대한 동질성과 중재 전 지식,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 대한 동질성 분석을 위하여 χ2-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집단 내 사전 ∙ 사후 간의 지식수준 차이를 보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사전에 차이가 있던 집단 내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 대한 평균값을 공변량 처리하고 교육 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위해 Bonferroni test를 실시하였다. PC 기반 동영상 강화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 Ⅱ와 적용하지 않은 실험군 Ⅰ 간의 지식수준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 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분석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제1가설: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Ⅰ, Ⅱ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이 높을 것이다”를 검정하기 위하여 사전 ∙ 사후 지식 점수에 대한 paired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군 Ⅰ 의 지식 점수는 중재 전 26.9점에서 중재 후 33.4점으로 증가되었고(t=-5.79, p <.001), 실험군 Ⅱ도 중재 전 25.3점에서 34.5점으로 증가하였으나 (t=-10.10, p <.001), 대조군은 중재 전 25.0점에서 26.6점으로 증가되어(t=-2.04, p =.051) 실험군 Ⅰ, Ⅱ가 대조군보다 평균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p <.001) (Table 3).
동영상 강화 교육 효과 분석
제3가설: “ PC (personal computer) 기반 동영상 교육을 강화한 실험군 Ⅱ는 강화하지 않은 실험군 Ⅰ 에 비해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수준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이 높을 것이다”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군 Ⅱ에게 실험 2주 후 동영상 강화를 적용하고 실험군 Ⅰ, Ⅱ의 사후 지식 점수를 비교하기 위한 t 검정을 실시하였다.그 결과, Table 5와 같이 실험군Ⅱ의 중재 후 지식 평균 점수는 34.5점,실험군Ⅰ 의 중재 후 지식 평균 점수는 33.4점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t=-1.160, p =.255). 또한 실험군 Ⅱ의 중재 후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 평균 점수는 55.53점, 실험군 Ⅰ 의중재 후 어머니 역할 자신감 평균 점수는 56.24점으로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t=.270, p =.789).
논 의
본 연구는 초산모에게 필요한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의 향상을 위하여 Dick 등(2008)의 체제적 교수 설계 모형을 기초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부가적으로 본 연구 도구의 하나인 동영상 매체로 강화 교육을 시도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육방법 탐색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영아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Ⅰ, Ⅱ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영아의 수면주기와 SIDS 예방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이 입증되었다.
지식에 대한 하위 범주별 점수 변화를 분석해 보면, 실험군 Ⅰ 에서는 수면의 생리, 주기별 양육 행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군 Ⅱ에서는 수면의 생리, 주기별 양육행위, 영아의 신호, SIDS 예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IDS 예방은 실험군 Ⅱ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최근 3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연간 90건 이상 발생(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양육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동영상을 통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Taylor와 Davis (1996)는 SIDS의 위험요소 중 영아의 올바른 수면 자세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반면에 대조군은 수면의 생리, 주기별 양육 행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이 사전조사로 인한 시험효과(testing effect)와 대상자의 성숙(maturation)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 준다.
어머니 역할 수행자신감은 실험군 Ⅰ, Ⅱ가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Oh, Sim과 Kim (2002), Seo (1998)의 초산모들을 대상으로 교육한 프로그램 적용 연구에서도 실험군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Park (2005)의 초산모의 영아 수면 및 활동 사정도구를 이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과 Lee (1998)의 미숙아 어머니의 워크북 프로그램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연구와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강화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군 Ⅱ에게 동영상 강화를 적용하고 지식과 어머니 역할 자신감을 측정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군Ⅰ 의 지식 점수 증가에 비해 실험군 Ⅱ의 지식점수 증가 폭이 컸고, 무엇보다 SIDS 지식은 실험군 Ⅱ만이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 것에 주목해 볼 때, 동영상 강화 중재가 약간의 보조적인 기여는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초산모에게 분만 후에 산욕기 비디오 교육을 실시한 Lee (2003)의 연구에서도 교육 후 지식이 더 증가하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출산 직후 오랜 시간 교육을 할 수 없는 산모들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영상 강화중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나타내준다. 동영상 파일을 이용한 교육은 교육대상자의 형편에 따라 반복적 교육이 가능하고 대상자의 수준과 상황에 따라 실제상황과 비교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가장 큰 강점으로 정보통신 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되어 있는 현 시대에 매우 유용한 교육 수단이다(Pugh & Revell, 2011; Wang, Park, & Kim, 2013). 특히 산욕기 회복상태에 있는 산모들이 동영상에서 보여주는 수면-각성 단계를 실제 자신의 영아의 수면-각성 단계와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한 매체라 할 수 있겠다.
본 교육 프로그램이 1회성 단기 교육임에도 효과가 높았던 이유를 유추해 보면, 교육 프로그램 구성 중, 교육 자료집과 영아 수면 교육 PPT 강의에 교육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진과 그림 그리고 고화질 동영상 등의 시청각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Pratkanis & Aronson, 2000). 그리고 교육의 내용의 반복학습을 위하여 교육 자료집과 동영상의 교육 내용을 체계적 교수설계과정에 따라 일관되게 구성하였고 대상자의 성취행동에 기반을 두고 개발단계마다 적절한 피드백을 수행했다는 점이다. 또한 초산모로 구성된 대상자집단이 영아 양육에 직면한 상태여서 학습동기가 높았다는 점도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얻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산전관리 프로그램은 일부 지자체의 형편에 따라 수행되거나 민간에서 상업적인 목적으로 운영되어(Hwang, 2010) 양육에 관련된 내용은 부족한 실정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매체를 개발하여 영아의 수면 단계의 미묘한 차이를 생생하게 보여 줄 수 있었고 후일에 웹기반 및 모바일 웹기반 동영상 교육용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강의 중심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산전 ·후 관리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보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장기간의 종단적 연구가 아니며 자료 수집을 두 개의 광역시에 있는 산후조리원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결과의 확대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한 산후 피로상태에 있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1회의 60분 정도의 교육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일반대상자에 비해 다소 탈락자가 많았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결 론
본 연구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 및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은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 형성에 기여하고 영아의 수면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동영상교육을 강화한 실험군 Ⅱ의 지식 상승 폭이 컸고 SIDS 관련 지식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으나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진 못했다. 본 프로그램은 산후조리원뿐만 아니라 임상과 지역사회 영역에서 초보양육자 및 대리양육자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PC 기반 동영상 강화만 이루어졌으나, 추후 웹 기반 또는 모바일 웹 강화의 효과도 검증하여 보다 효과적인 강화 방법을 탐색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2)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는 산전 교육에도 영아 수면과 SIDS 예방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3) 본 연구는 단기적인 효과만을 측정하였는데, 추후에는 영아의 수면 건강과 SIDS 예방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und of Sahmyo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