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hild Health Nurs Res > Volume 21(3):2015 > Article
국내 아동전문간호사의 근무지 역할에 따른 직무수행과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비교

Abstract

Purpose:

Child Health nurse practitioners (CHNPs) in Korea have important roles in disease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Yet, practices of CHNPs licensed and employed in hospitals have not been adequately identified. Thus, in this study the scope of practice by CHNPs and job satisfaction and stres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CHNPs’ position in the working place.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ll 53 licensed CHNPs participated in the mail survey which included a 71-item questionnaire o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nd a job contents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compare CHNPs employed as nurse practitioner (NP) and CHNPs employed as staff nurses.

Results:

Compared to CHNPs employed as staff nurses, CHNPs employed as NPs more frequently provided education, environment management, coordination and research in their practice a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the administration and income subdomains. Only the physical exertion subdomain in job stress was stressful to CHNP employed as staff nurse.

Conclusions:

Job performance of CHNPs in Korea needs to be revised to include more practical practice in education, coordination, and research related areas.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2000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전문간호사’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법제화된 이후 2004년부터 전문간호사 배출을 위한 전문교육이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 2015년 현재 39개 대학, 12개 분야에서 전문간호사가 배출되고 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전문간호사의 직무를 자료수집, 임상적 의사결정, 치료적 중재, 응급 상황 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 관리, 조정과 협동, 전문직 발전 참여, 그리고 연구의 9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따른 구체적인 역할과 업무 활동을 제시하여 해당영역의 전문성을 부각하고 있다[1].
아동전문간호사는 신생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발생하는 급·만성질환을 가진 아동을 관리하고, 이들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간호사이다[2]. 아동전문간호사 과정은 2007년부터 서울 소재 일개 대학에서 시작하였으며, 한시적인 특례자격으로 자격증을 취득한 13명을 포함하여 2014년 현재 총 53명의 아동전문간호사가 배출 되었다[3]. 다른 전문간호사 과정에 비해 다소 늦게 시작한 아동전문간호사는 지속적으로 실무에서의 역할을 명확히 규명되고 정립해야 나아가야 하는 시기이다. 때문에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을 통해 실무와 교육의 교류를 계속하고, 이를 통해 명확한 역할을 정립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대학원과정과 국가공인자격시험을 통해 전문간호사 자격을 취득한 간호사들 중 상당 수가 일반간호사로 근무하는 과도기적인 상태에 있다. 국내의 몇몇 상급종합병원에서는 기관 자체의 필요에 따라 일반간호사와는 구분되는 역할을 담당하는 간호사를 두고 있으며, 이들을 전문간호사·전담간호사·설명간호사·교육간호사·코디네이터 등의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여 부르고 있다. 기관의 필요에 따라 생긴 간호사들 중에는 전문간호사를 위한 대학원 과정의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실제적으로 일반간호사의 업무 수준을 능가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4].
따라서 임상에서 실제적인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를 파악하기 위해 자격증을 가지고 전문간호사의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과 자격증이 있으나 일반간호사의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의 업무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국내에서의 아동전문간호사들이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업무를 확인하고 일반간호사와 독립되는 고유의 역할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문직 간호직무 내용을 근간으로 자료조사하고 비교함으로써 향후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5].
한편 전문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것은 임상에서 실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적 가치를 어떻게 조화시키며 일을 할 수 있는지를 밝혀냄으로써 전문직의 입지를 공고히 해준다[6]. 이러한 직무만족도는 간호사의 내적 요인 뿐만 아니라 업무 수행을 위한 환경, 제도적 지원과 같은 외적 요인에도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결국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간호 서비스의 질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7,8].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많은 간호사는 자신의 직업에 대해 만족감이 감소하여 효과적인 역할을 행하기 어렵고 제공하는 간호의 질 역시 저하된다[9]. 최근 한 연구에서 국내 11개 분야의 전문간호사 452명을 대상으로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점 만점에 2.9점으로 낮은 편이었다[10]. 외국의 경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국 전문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6점 만점에 4.7점[11], 신생아를 보는 전문간호사는 5점 만점에 4.20점[12], 캐나다의 전문간호사는 4점 만점에 3.83점[13]의 직무만족도를 보고하여 대체로 우리나라 전문간호사보다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이 연구[10]는 36.7%가 노인전문간호사를 대상자로 하여 편중현상이 있었고, 41.6%의 대상자만이 자격분야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어 전체 전문간호사로서의 전문적인 역할이나 직무에 대한 만족도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아직 역할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국내 아동전문간호사의 경우 제도적, 행정적 지원체계에 의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7,8]. 본 연구는 국내의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증 소지자 중에서 실무에서 전문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아동전문간호사와 자격증은 있으나 일반간호사로 근무하는 아동전문간호사로 구분하여 직무수행,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를 비교하여 향후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따른 구체적인 직무 개발 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 및 대상자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공인 자격증을 소지한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 정도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여 향후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직무 개발, 교육과정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전문간호사의 근무지에서의 역할에 따른 전문직 직무수행 정도를 비교한다.
둘째, 아동전문간호사의 근무지에서의 역할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를 비교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내 아동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실무에서의 직무수행과 직무만족도 및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서술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2014년 국내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전문간호사 53명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에게 접근하기 위해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협조를 얻어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증 소지자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확보한 후, 이메일을 통해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현재 근무지와 아동을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일차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증을 가지고 실무에서 아동을 돌보고 있는 간호사는 33명이었다(Figure 1). 이 중 병원에서 전문간호사로 고용된 11명과 초등학교 보건교사 2명을 포함하여 총 13명이 아동전문간호사 직책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20명은 아동병동이나 외래에서 일반간호사역할로 근무하고 있었다. 실무에서 아동을 돌보는 아동전문간호사 33명 모두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였으며, 우편을 통해 설문지와 연구 동의서를 발송하였다. 설문지에 응답한 모든 대상자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53명의 아동전문간호사 중 성인병동이나 행정부서, 교육기관 등에 근무하는 사람은 20명이었으며, 이들은 직접 아동을 직접 돌보지 않는 병동, 행정부서, 교육기관 등에 근무하고 있으므로 설문 자료수집에서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Y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2012-0007)을 받은 후에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3. 연구 도구

1)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1)하고 있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여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질문지는 총 71문항으로 자료수집(11문항), 임상적 의사결정(8문항), 치료적 중재(13문항), 응급상황관리(5문항), 교육 상담(11문항), 환경 및 지원관리(7문항), 의뢰/조정/협동(4문항), 질 관리/전문직 발전 참여(6문항), 연구(6문항)의 9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임상적 의사결정의 구체적인 업무는 진단검사 결과 확인하기, 간호진단 내리기, 감별진단하기, 치료 및 간호중재 계획하기, 치료 및 간호 수행결과 평가하기가 포함되어 있다. 응답자는 각 항목에 대해 지난 1주일 동안 평균적으로 수행한 빈도를 ‘한 번도 수행하지 않음’, ‘1-2회 수행(가끔)’, ‘3-4회 수행(종종)’, 그리고 ‘5회 이상 수행(매일)’에서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각 항목의 수행 빈도는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2)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는 개인이 자신의 업무환경을 즐겁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말하며, Stamps 등[14]이 개발하고 Park, Park과 Lee[15]의 연구에서 국문으로 번역하여 사용한 직무만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4개 문항으로 급여(3문항), 업무요구(4문항), 전문적 지위(5문항), 행정(3문항), 의사-간호사 관계(2문항), 자율성(4문항), 상호작용(3문항)의 7개 하부영역으로 되어있고, 응답자는 ‘매우 그렇다’(5점)에서 ‘매우 그렇지 않다’(1점) 사이에 응답하게 하였다. Stamps 등[10]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93, Park 등[1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71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5 이었다.

3)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에서 요구되는 사항이 근로자의 수행능력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부정적, 신체적, 정서적 반응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업성 긴장모형(job strain)에 근거하여 Karasek[16,17]이 개발한 직무내용 질문지(Job Content Questionnaire)를 Han[18]이 국문으로 번역한 내용을 저자의 허락을 받고 사용하였다. Han 연구에서 Cronbach’s α .65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75이었다. 직업성 긴장 모형(job strain)은 직무 요구와 직무 통제력의 점수를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4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및 분석하는 모델이다. 예를 들어, 업무 요구는 높으나 업무에 대한 자유 재량도가 낮은 경우, 업무 요구와 업무에 대한 재량도 모두 높은 경우 등의 4그룹으로 나뉘어 분석하거나 아니면 실제 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19].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가 많지 않으므로 실제 점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직무요구(5문항), 직무통제력(9문항), 사회적 지지(8문항), 고용 불안정(3문항), 육체적 과부하(1문항)의 26문항을 4점 척도인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4점) 사이에 응답하게 하였다. 모든 측정치의 산출방식은 Karasek[17]이 제시한 공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수행 빈도는 실수와 백분율로 기술하였다. 아동전문간호사의 실무에서 직위에 따른 비교는 직무수행 빈도는 chi-square test, 직무만족도는 독립 t-test, 직무스트레스는 Mann-Whiten U test로 비교하였다. 두 그룹의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자료의 정규성 검증을 위해 Kolmogorov-Smirnov 검사를 시행한 결과, 직무만족도는 정규분포하여 모수 통계법을 사용하였으며(p =.200), 직무스트레스는 정규분포 하지 않아 비모수 통계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증을 가지고 실무에서 아동을 돌보고 있는 간호사 33명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이들의 연령은 평균 34.6세였으며 임상경력은 평균 10.8년이었다. 전문간호사(Nurse Practitioner, NP)의 직위로 근무한다고 응답한 간호사의 부서는 신생아 중환자실(5명), 소아과 외래(3명), 소아과 병동(3명), 흉부외과 병동(1명)이었고,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증이 있지만 일반간호사로 근무하는 20명의 간호사는 소아과 병동(9명, 45%), 소아과 중환자실과 응급실은 각각 3명, 기타 5명(신경외과 중환자실, 외래, 회복실)이 있었다.

2.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 정도

아동전문간호사의 실무에서의 직무수행 빈도는 Table 2와 같다. 아동전문간호사 역할로 일하는 그룹과 일반간호사 역할로 일하는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역은 교육 및 상담(p < .001), 환경 및 자원 관리(p =.280), 조정 및 협동(p =.001), 연구(p < .001)영역으로 아동전문간호사 역할로 일하는 그룹에서 해당 영역을 더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그 외의 자료수집, 임상적 의사결정, 치료적 중재, 응급관리 영역은 일반간호사 역할을 하는 대상자와의 수행 빈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3.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는 각각 Table 3Table 4에 제시하였다. 아동전문간호사 직위로 일하는 그룹의 직무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16점으로 ‘보통이다’에서 ‘그렇다’ 사이의 점수이었으며, 전문적 지위(3.7점), 상호작용(3.6점), 의사-간호사관계(3.4점), 자율성(3.3점)이 평균보다 높은 영역이었다. 일반간호사로 일하는 그룹의 만족도는 평균 3.20점으로, 상호작용(3.8점)과 의사와의 관계(3.5점)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두 그룹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으며, 세부 항목을 비교하였을 때 행정(p =.027)과 임금(p =.020)에 대한 만족도가 일반간호사가 아동전문간호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직무스트레스는 육체적 과부하가 일반간호사로 일하는 그룹이 더 높았으며(p =.030) 그 외의 영역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논 의

본 연구는 국내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서술 조사연구이다. 2014년 국내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53명 전수를 조사한 결과, 13명이 상급병원과 초등학교에서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을 하고, 나머지 20명은 일반병동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2013년 우리나라 아동전문간호사 44명 전수를 조사한 연구[4]에서 자격증을 소지한 간호사가 15명(34.1%)으로 자격증을 소지하지 않고 전문간호사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가 더 많은 것을 고려하였을 때, 아직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는 정착을 위한 과도기라고 할 수 있겠다.
실제 아동전문간호사로 일하는 13명의 근무 장소는 아동병동, 외래, 초등학교이었고, 이는 미국 아동전문간호사의 근무지와 비교하 였을 때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20]. 특히 국내 아동전문간호사의 경 우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저체중출생아 와 미숙아의 출생률 증가로 전문간호인력이 더욱 필요해졌기 때 문으로 생각된다. 향후 고위험신생아를 전문적으로 간호할 수 있는 신생아전문간호사(neonatal nurse practitioner) 전문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동전문간호사의 교육에 있어서, 현재 국내에서는 1개 대학의 아동전문간호사 교육과정 제공으로 매년 10명 정도의 제한된 인원의 아동전문간호사가 배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2011년 115개 대학에서 아동전문간호사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21] 총 13,384명의 아동전문간호사가 활동하고 있는 것[22]과 비교하였을 때 우리나라에서 제공되고 있는 아동전문간호사를 위한 교육 기회에 대하여 다시 한번 재고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에도 지속적인 저출산율로 인해 아동 인구의 감소를 겪고 있으며[23], 출생한 신생아와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도 더욱 중요한 때이다. 뿐만 아니라 산모들의 고령 출산이 많아지면서 미숙아나 고위험 아동이 늘어나면서 아동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의료소비자의 질 높은 간호 요구를 고려할 때 아동을 전문적으로 간호할 수 있는 전문간호사의 공급은 더욱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아동전문간호사 과정을 개설할 수 있는 교육기관의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업무 내용은 미국의 상급전문간호사(Advanced Nurse Practitioner, APN)중 전문간호사(Nurse Practitioner, NP)의 역할을 모델로 하고 있다. 미국의 상급 전문간호사는 전문간호사, 임상전문간호사(Clinical Nurse Specialist, CNS), 조산사(Midwifery), 마취전문간호사(Certified Nurse Anesthesia)로 나뉜다. 미국과 캐나다의 CNS는 환자와 보호자 교육·상담·연구·직접간호를 제공하고 있고, NP는 직접적인 환자 관리를 주요 역할로 신체사정·진단검사·처방·감별진단·질환 별 관리 등 확장된 역할과 처방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고 있다[24,25].
본 연구에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를 토대로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현재 임상에서 근무하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업무가 제도상 규정된 직무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장점이 있었다. 실무에서 아동전문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13명과 그렇지 않은 20명의 업무를 비교하였을 때, 자료수집·임상적 의사결정·치료적 중재·응급관리 영역은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분야는 미국에서는 NP의 주요 업무로 간주되고 있는 영역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동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업무 차이가 없었다[26]. 하지만 교육 상담, 환경 및 자원 관리, 조정 및 협동, 그리고 연구영역에서는 아동전문간호사 역할로 일하는 13명이 더 많이 수행한다고 보고하여, 이는 오히려 미국의 CNS의 역할과 더 비슷한 부분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27]. 국내의 전문간호사 제도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아동전문간호사 직무에 대한 요구도 조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내용이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경우, 전통적인 역할인 사정·진단·교육과 상담·치료계획의 개발·건강예방 중재·성장발달 상담·협진 의뢰 등의 실제 직무에 관한 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자격시험으로 확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역으로 임상에서 지속적으로 요구를 사정하여 전문간호사의 표준화된 직무기술에 포함하고 자격시험에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있다[5,28]. 아동전문간호사는 근무하는 환경이나 신생아부터 청소년까지 생애주기 넓은 영역에 해당하는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직무기술서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공통적인 직무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임상 근무지와 관련한 구체적인 직무는 개별적으로 현장에서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평균 직무만족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아동전문간호사로 근무하는 13명과 일반간호사로 근무하는 20명의 그룹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항목인 행정과 임금에서는 전문간호사로 근무하는 13명의 점수가 더 낮아 상대적으로 직무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간호사 직위로 근무하는 아동전문간호사들은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 관리, 조정 및 협동, 연구 영역에서 상급간호를 더 많이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적 직무 수행에 대한 조직차원의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고려된다.
직무스트레스 또한 두 그룹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비슷한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직무스트레스의 소항목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간호사로 근무하는 20명은 육체적 과부하의 점수가 더 높아 전문간호사로 근무하는 경우에 비해 신체활동이 더 많게 느낀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아동전문간호사 역할을 하는 그룹의 업무 요구나 결정 재량권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가 일반간호사 역할을 하는 그룹과 비슷한 것은 전문간호사에게 자율성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현 임상실무에서 의사나 다른 사람의 지도 감독 하에 근무하는 특성이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2014년 국내에 등록된 아동전문간호사 53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교육과 행정부서에서 근무하는 20명의 간호사를 제외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자 수가 부족하였다. 또한 직무기술서의 내용을 토대로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나, 직무 내용이 서술형으로 기술되지 않고 빈도로 기술되어 대상자는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사용한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간호사의 직무에 초점이 맞춰진 도구로 전문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제한이 있었을 수 있다. 외국에서는 이미 전문간호사에게 사용할 수 있는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가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어[29], 우리나라에서도 전문간호사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들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아동전문간호사의 초기 교육과정은 미국의 교과과정과 직무내용을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나[30] 이제는 우리나라의 의료소비자인 아동과 그 부모를 돌보는 실무 중심의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요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 실무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아동전문간호사의 교육과정 및 자격시험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실무에서 행하고 있는 직무에 대한 최근 정보를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에 반영하고 이를 다시 아동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반영할 때 교육과 실무의 내용이 통합되고 질적인 전문 간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국내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 정도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여 향후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직무 개발과 교육과정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관련 정책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해 시도되었다. 아동전문간호사로 등록된 53명 전수를 대상으로 일차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현재 아동을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 33명에게 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를 토대로 개발한 질문지와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측정 질문지를 우편을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실무에서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로 근무하는 간호사 13명이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 관리, 조정 및 협동, 그리고 연구 영역의 업무를 더 많이 수행하고 있었고, 임상의사결정, 치료적 중재, 응급관리의 영역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아동전문간호사로 근무하는 13명의 직무만족도는 5점 만도에 3.16점이었고, 행정과 임금의 하부항목에서는 일반간호사보다 만족도가 낮았다. 직무스트레스의 하부항목 중 육체적 과부하를 제외하고 아동전문간호사 역할과 일반간호사 역할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일하고 있는 아동전문간호사의 직무수행을 확인 및 비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직무기술서에 대한 현실적 상황의 반영과 구체적 직무의 내용이 교육과정과 자격시험에도 반영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임상에서의 국내 전문간호사의 직업군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개발 연구가 필요하고, 델파이방법을 이용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임상을 반영한 실제적 직무에 대한 정보 수집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아동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 대상자인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funded by the Mo-Im Kim Nursing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References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hild health APN job description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09 [cited 2015 May 5]. Available from: http://kabon.or.kr

2. Jackson PL, Kennedy C, Sadler LS, Kenney KM, Lindeke LL, Sperhac AM, et al. Professional practice of pediatric nurse practitioners: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PNP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01;15(6):291-298. http://dx.doi.org/10.1067/mph.2001.115389
pmid
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ational cerification for APN standards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3 [cited 2015 May 5]. Available from: http://kabon.or.kr

4. Kwon NK. Analysis of role and scope of practice of pediatric nurse practitioners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p. 1-69.

5. Pulcini J, Jelic M, Gul R, Loke AY. An international survey on advanced practice nursing education, practice, and regulation.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0;42(1):31-39.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9.01322.x
crossref pmid
6. Schiestel C. Job satisfaction among Arizona adult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7;19(1):30-34.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6.00187.x
crossref pmid
7. Pasaron R. Nurse practitioner job satisfaction: Looking for successful outcom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3;22(17-18):2593-2604.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6.00187.x
crossref pmid
8. Dunaway LJ, Running A. Job satisfaction as self-care within a restrictive regulatory environment: Nevada’s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9;21(10):557-564.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9.00446.x
crossref pmid
9. Cousins R, Donnell C. Nurse prescribing in general practice: A qualitative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work-related stress. Family Practice. 2012;29(2):223-227. http://dx.doi.org/10.1093/fampra/cmr077
crossref pmid
10. Kim SD.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2):6146-6154.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2.6146
crossref
11. Schiestel C. Job satisfaction among Arizona adult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7;19(1):30-34.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6.00187.x
crossref pmid
12. McDonald K, Rubarth LB, Miers LJ. Job satisfaction of neonatal intensive care nurses. Advanced Neonatal Care. 2012;12(4):E1-E8. http://dx.doi.org/10.1097/ANC.0b013e3182624eb1
crossref
13. Doran D, Duffield C, Rizk P, Nahm S, Chu CH. A descriptive study of employment patterns and work environment outcomes of specialist nurses in Canada. Clinical Nurse Specialist. 2014;28(2):105-114. http://dx.doi.org/10.1097/nur.0000000000000031
crossref pmid
14. Stamps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978;16(4):337-352. http://dx.doi.org/10.1097/00005650-197804000-00006
crossref pmid
15. Park HI, Park KM, Lee KH.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visiting nurses’ personal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2):77-86.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2.77
crossref
16. Karasek Jr RA.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79;24(2):285-308. http://dx.doi.org/10.2307/2392498
crossref
17. Karasek R, Brisson C, Kawakami N, Houtman I, Bongers P, Amick B.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 instrument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assessments of psychosocial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998;3(4):322-355. http://dx.doi.org/10.1037/1076-8998.3.4.322
crossref pmid
18. Han TY.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level of dental technicians. Yonin: Dankook University; 2009. p. 8-11.

19. Almost J, Laschinger HKS. Workplace empowerment, collaborative work relationships, and job strain in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2;14(9):408-420.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2.tb00142.x
crossref pmid
20. Bolick BN, Bevacqua J, Kline-Tilford A, Reuter-Rice K, Haut C, Mc-Comiskey CA, et al. Recommendations for matching pediatric nurse practitioner education and certification to pediatric acute care population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13;27(1):71-77. http://dx.doi.org/10.1016/j.pedhc.2012.09.009
crossref pmid
21. Hawkins-Walsh E, Berg M, Docherty S, Lindeke L, Gaylord N, Osborn K. A national survey of the primary and acute care pediatric nurse practitioner educational preparation.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11;25(1):5-15. http://dx.doi.org/10.1016/j.pedhc.2010.06.005
crossref pmid
22. Freed GL, Dunham KM, Loveland-Cherry CJ, Martyn KK. Pediatric nurse practitioners in the United States: Current distribution and recent trends in training. Journal of Pediatrics. 2010;157(4):589-593. http://dx.doi.org/10.1016/j.jpeds.2010.04.031
crossref pmid
23. Englishnews. Massive Gov’t spending fails to boost birthrate [Internet]. Seoul: ChosunMedis The Chosunilbo; 2014 [cited 2015 May 6]. Available from: 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0/10/2014101001554.html

24. Carter N, Dobbins M, Ireland S, Hoxby H, Peachey G, DiCenso A. Knowledge gaps regarding APN roles: What hospital decision-makers tell us. Nursing Leadership. 2013;26(4):60-75. http://dx.doi.org/10.12927/cjnl.2013.23629
crossref pmid
25. Ormond-Walshe SE, Newham RA.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and the advanced nurse practitioner rol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1;9(4):205-207. http://dx.doi.org/10.1046/j.0966-0429.2001.00277.277.x
crossref pmid
26. Molitor-Kirsch S, Thompson L, Milonovich L. The changing face of critical care medicine: Nurse practitioner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ACN Clinical Issues. 2005;16(2):172-177. http://dx.doi.org/10.1097/00044067-200504000-00008
crossref pmid
27. LaSala CA, Connors PM, Pedro JT, Phipps M. The role of the clinical nurse specialist in promoting evidence-based practice and effecting positive patient outcome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07;38(6):262-270. http://dx.doi.org/10.3928/00220124-20071101-03
crossref pmid
28. Verger JT, Marcoux KK, Madden MA, Bojko T, Barnsteiner JH. Nurse practitioners in pediatric critical care: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AACN Clinical Issues. 2005;16(3):396-408. http://dx.doi.org/10.1097/00044067-200507000-00012
crossref pmid
29. Misener TR, Cox DL. Development of the Misener nurse practitioner job satisfaction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1;9(1):91-108.
pmid
30. Lee JH, Kim JH. The development of certificates criteria and curriculum in advanced pediatric nurse practitioner program. Nursing Science. 2003;15(2):73-79.

Fig. 1.
Diagram of participants recruited.
CHNR=Child health nurse practitioner; NP=Nurse practitioner.
chnr-21-3-253f1.gif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33)
Characteristics Division n (%) Mean±SD Range
Age (year) 34.61±4.16 29-44
Education Master degree 31 (93.9)
Doctoral degree 2 (6.1)
Annual income (1,000 won) <40,000 2 (6.1)
40,000-50,000 6 (18.2)
50,000-60,000 17 (51.5)
>60,000 8 (24.2)
Clinical experience (years) 10.83±3.53 3.91-19.6
Job position/working place Employed as NP 13 (39.4)
 NICU 5 (38.5)
 OPD 3 (23.1)
 Pediatric ward 2 (15.4)
 Cardiac ward 1 (7.7)
 Elementary school 2 (15.4)
Employed as staff nurse 20 (60.6)
 Pediatric ward 9 (45.0)
 PICU 3 (15.0)
 NICU 2 (10.0)
 Emergency room 3 (15.0)
 Recovery room 1 (5.0)
 OPD 2 (10.0)

CHNP=Child health nurse practitioner; NICU=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PD=Outpatient department; PICU=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Table 2.
Job Performance of Child Health Nurse Practitioners by Position in Work Place (N=33)
Duty Employed as CHNP (n=13)
Employed as staff nurse(n=20)
𝑥2 (p)
Rarely (%) Sometimes (%) Often (%) Everyday (%) Rarely (%) Sometimes (%) Often (%) Everyday (%)
Data collection 46.85 25.17 11.89 16.08 50.91 21.82 10.91 16.36 0.79 (.852)
Clinical decision making 11.54 25.00 21.15 42.31 21.25 18.13 16.25 44.38 5.74 (.125)
Therapeutic interventions 66.80 10.81 6.18 16.22 58.75 13.50 11.25 16.5 5.31 (.151)
Management of emergencies 73.85 21.54 0.00 4.62 63.00 25.00 6.00 6.00 4.93 (.177)
Education/consultation 43.08 26.92 9.23 20.77 69.00 20.00 3.50 7.50 26.06 (<.001)
Management of environment/resource 50.55 25.27 9.89 14.29 68.57 19.29 3.57 8.57 9.13 (.028)
Referral, coordination 38.46 17.31 23.08 21.15 67.5 18.75 8.75 5.00 16.51 (.001)
Quality improvement, professional activities 35.90 44.87 10.26 8.97 47.5 44.17 5.83 2.50 6.63 (.085)
Research 37.18 38.46 19.23 5.13 70.00 27.5 2.50 0.00 31.42 (<.001)
Table 3.
Job Satisfaction of Child Health Nurse Practitioners by Position in Work Place (N=33)
Job satisfaction Employed as NP (n=13)
Employed as staff nurse (n=20)
t-value (p)
Mean±SD Mean±SD
Professional position 3.65±0.58 3.49±0.58 -0.755 (.458)
Interaction 3.59±0.45 3.75±0.56 0.862 (.401)
Relationship between doctor and nurse 3.42±0.67 3.53±0.85 0.364 (.718)
Autonomy 3.27±0.45 3.14±0.43 -0.850 (.402)
Administration 2.72±0.38 3.15±0.60 2.314 (.031)
Income 2.72±0.62 3.27±0.64 2.443 (.022)
Job demand 2.62±0.54 2.59±0.53 -0.146 (.887)
Total 3.16±0.33 3.23±0.41 0.642 (.528)

NP=Nurse practitioner.

Table 4.
Job Stress of Child Health Nurse Practitioners by Position in Work Place (N=33)
Job stress (Number of items) Employed as NP (n=13)
Employed as staff nurse (n=20)
Mann-Whitney U Z value (p)
Median Median
Job demands (5) 32.0 35.0 -1.56 (.119)
Decision latitude (9) 86.0 81.0 -1.86 (.063)
Social support (8) 24.0 24.0 -0.18 (.859)
Job insecurity (3) 7.0 6.0 0.17 (.168)
Physical exertion (1) 3.0 4.0 -2.17 (.030)

NP=Nurse practitioner.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2
Crossref
0
Scopus
16,945
View
497
Download
Related articles
Editorial Office
Department of Nurs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Republic of Korea
Tel: +82-33-649-7614   Fax: +82-33-649-7620, E-mail: agneskim@cku.ac.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5 by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Developed in M2PI